[프라임경제]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R&D(연구개발) 투자비율이 선진국 수준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연구개발 투자와 국제특허 출원 건수, 전체 연구원 수 등은 세계 최고 수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혁신본부는 13일 지난 1988년부터 2002년까지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프랑스, 독일, 프랑스 등 선진 5개국 및 중국 등 모두 12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과기혁신본부는 그러나 전체 연구원 가운데 기업 연구원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늘어난 반면 대학과 공공부문은 줄어드는 등 양극화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과기혁신본부에 따르면 국내 SCI(세계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급 논문은 88년 1033건에 불과했으나 연평균 20.1%의 증가율로 2002년에는 1만5862건에 달했다.
이에 따라 국내 첨단산업의 부가가치 창출규모는 88년 140억 달러에서 2000년 500억 달러를 넘어서는 등 고속성장을 거듭, 해당분야 무역수지 흑자가 일본, 아일랜드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또 우리나라의 GDP(국내총생산)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율은 88년 1.7%에서 2002년 2.5%로 증가, 선진국 5개국 평균치인 2.5%에 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비중은 2002년 기준 73%인데다 첨단 산업의 투자비중이 52%를 차지, 선진국 5개국 평균치 40%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밝혀졌다.
이밖에 국내 연구원 수는 88년 5만2299명에서 2002년 14만1917명으로 연평균 7.4%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선진국의 연평균 증가율 3%를 크게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인구 1만명 당 연구원 수는 88년 12.5명에서 2002년 29.8명으로 선진국의 80% 수준에 그쳐 핀란드 스웨덴 아일랜드 등
3개국의 평균치 49.7명에 비해 아직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