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두산그룹, 지주회사 ‘기대반 의심반’

이철원 기자 기자  2006.01.20 03:24:59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수백억원대의 회삿돈을 유용하며 형제간 경영권 다툼까지 벌여 만신창이가 됐던 두산그룹이 글로벌 수준의 투명경영을 선언하자 그룹 안팎에선 기대반 의심반 하는 분위기다. 

박용성 회장이 틈만 나면 공정위 정책등에 대해 규제라며 반발해온 점을 감안할 때 두산그룹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재벌개혁 정책을 모두 수용하며 변화를 자처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두산그룹이 19일 밝힌 지배구조 개선안의 골자는 크게 3년내 지주회사 전환, 소액주주 권리강화, 회계기준 선진화, 감사위원회 활성화 등이다.

그룹회장제를 즉각 폐지하고 (주)두산중심의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하고 이사회 체계를 통한 독립경영체제를 추진한다.
   

특히 (주)두산은 지배구조 개선과 구조조정을 추진하게될 CEO는 외국인을 영입하기로 했다. 3월 예정된 주총을 통해 지배구조 개선안을 승인받고 정관 개정 등을 거쳐 세부계획을 추진해간다는 것.

우선 지주회사 기반을 다지기 위해 (주)두산을 지주부분과 현재의 BG부문 등의 사업부분으로 분리한다.

소액주주 권익강화를 위한 서면투표제, 투명경영을 위해 100% 사외이사로 구성된 준법감시인제와 내부거래위원회, 사외이사 추천위원회 및 사외이사 추천 자문단을 두기로 했다.

이와함께 분기별 IR도 실시해 이행실적도 알린다는 것..

그룹 고위관계자는 “사외이사는 사외이사 추천단에서 2배수로 추천하면 사외이사 추천위원회에서 5명 이상의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식으로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발표 내용대로라면 이번 선언은 SK의 이사회 중심 경영이나 LG그룹의 지주회사 수준보다 훨씬 더 강화된 수준이다.

현재 국내 기업중 서면투표를 도입한 곳은 포스코와 KT 등 두곳에 불과하고 사외이사 추천위원회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겠다는 것도 국내에선 유례가 없다.

자금조달 사외이사 독립성 지분정리 등 과제 산적

하지만 두산의 발표가 실현되려면 해결해야할 과제가 적지않다.

공정거래법에 따르면 지주회사가 되려면 부채비율(100%)과 자회사 지분보유(상장사 30%이상, 비상장사 50%이상 보유) 등 조건을 충족해야 하지만 부채비율 360%대의 부채비율과 지분정리를 위한 재원마련 방안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현재의 두산 - 두산중공업 - 두산산업개발 - 두산으로 이어지는 순환출자구조를 해체하고 (주)두산 중심으로 단순화시켜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수조원대의 자금이 필요하다.

이와관련, 그룹 고위관계자는 “수익을 내는 우량계열사를 중심으로 하고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병행하면서 우량계열사들이 수익을 내고 있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할 수 있는 지 여부도 미지수다. 

이런 점 때문에 여전히 두산에 대한 의심도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총수일가 재판을 앞두고 재판부에 면죄부를 기대하기 위한 쇼가 되어선 안될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편 두산은 그동안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GE) 등 글로벌다국적 기업을 모델로 연구하며 외국 유학파와 외국계 컨설팅 업체의 조언을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