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산업자원부는 에너지이용 합리화를 위해 올해 중소기업과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에 6550억원의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산자부 지원금은 작년의 6490억원보다 60억원 증가된 규모로 관련 기업들이 고유가와 기후변화협약 의무부담에 대비하고, 에너지절약시설에
투자해 집단에너지 보급 확대에 기여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또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보다
많은 수요자를 지원하기 위해 산자부는 대기업의 경우 소요자금의 100%까지 지원하던 것을 80%이내로 줄이고 중소기업에는 90%까지 확대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 중 1237억원을 ESCO사업에 별도로 배정하고, 그중 70%이상은 중소기업에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에너지절약시설의 설치, 자발적 협약기업의 투자사업 등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에 3455억원, ▲ESCO 투자사업에 1237억원, ▲ 집단에너지사업에 1856억원 등을 지원할 전망이다.
한편, 산자부는 에너지절약을 위해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을 1980년부터 지원한 이래 작년까지 총 6조3000억원을 지원해 국제수지 개선은 물론 에너지 절약에 따른 온실가스 발생저감 등 환경개선에도 크게 기여해 왔다.
☞ 용어설명
에너지절약전문기업(Energy Service Company, ESCO)
에너지 사용자가 기술적, 경제적 부담이 없도록 전문기업에서 자체자금 또는 정책자금으로 에너지사용자의 에너지절약 시설에 투자한 후 이 투자시설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절감비용으로 투자비와 이윤을 회수하는 기업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