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원 · 달러 환율 변동 등에 따라 외환시장 안정이 시급한 가운데 정부는 국고채 10조원을 신규발해키로 하는 등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재정경제부는 12일 올해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국고채 10조원을 신규발행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예비수요로 책정한 6조원의 발행한도 중에서도 최소 1조원 이상을 외환시장 안정에 투입할 방침이다.
재경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올해 지난해 국회에서 의결한 국채발행한도 75조7000억원에 대한 종류별, 용도별 채권 배정 내역을 발표했다.
채권의 종류별로는 국고채 65조7000억원, 외화표시 외평채 1조원, 국민주택채권 9조원 등이 배정됐다.
이 가운데 국고채 발행자금 65조7000억원 중 18조7000억원은 이미 발행된 국고채의 재발행 재원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47조원은 신규 및 예비수요로 배정했다.
신규 및 예비수요는 ▲외국환평형기금 재원조달 17조2000억원(신규발행 10조원, 상환용 7조2000억원) ▲공적자금상환기금의 보증채무 국채전환 11조4000억원 ▲일반회계 적자보전 7조9500억원 ▲남북협력기금 8000억원 ▲쌀소득보전기금 5000억원 ▲예비수요(조기차환 및 외평기금 재원조달 등) 6조원 ▲기타 3조1500억원 등으로 배정됐다.
정부는 이와 함께 장기국채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20년물 국고채(초장기채)의 안정적 발행과 국고채 원금이자분리제도(STRIPS) 도입, 10년물 국채선물 상장 등 장기채 Hedge수단 마련 검토 등의 대책을 내놓았다.
또 일반투자자와 외국인 등의 국채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국채 입찰단위를 10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분할하는 방안 추진키로 했다.
특히 국채시장 인프라 강화 방안으로 국고채전문딜러(PD)의 시장조성(Market Making)을 기능 강화하는 한편, PD 평가기준 개선과 PD에 대한 보상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