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신임 노조위원장 불인정, 노조원 블랙리스트 작성 등으로 불거진 (주)코오롱 노사분규가
해결기미를 보이지 않고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노조가 사측의 비리를 또다시 폭로하는 등 갈등이 최악의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 (주)코오롱 구미공장 전경
노조측의 이 같은 폭로는 대구지방노동청이 지난 9일 구미노동사무소에 (주)코오롱에 대한 ‘특별조사’를 준비하라고 지시를 내린 가운데 전개되고 있어, 이 회사의 노사분규를 하루 빨리 매듭지을 수 있는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노사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코오롱노조는 구랍 19일, 사측이 새로운 노조 위원장을 선출하기 위한 공작 내용이 담긴 ‘Re-E’라는 제목의 문건을 폭로한 바 있다.
코오롱노조는 12일 “노동부의 코오롱에 대한 특별조사를 앞두고 지난 10일 오전 (주)코오롱 구미공장 전 관리자들은 자신들이 사용하는 업무용 컴퓨터를 모두 포맷했다”고 폭로했다. 이 같은 폭로는 관리자들과 가까운 공장 내부 직원의 양심있는 제보에 의한 것이라고 노조측 관계자는 말했다.
노조는 지난 11일 대구지방노동청으로부터 (주)코오롱에 대한 특별조사를 실시할 것이라는 내용의 공문을 팩스로 받았는데, 이 같은 사실이 회사측으로 미리 전달돼 사측이 미리 손을 쓴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 특별조사 대비, 사측 미리 손 썼을 것
“사측이 어떤 자료를 포맷을 했다고 제보를 받았느냐”는 질문에는 “그것까지는 정확히 알 수 없고 제보자도 해고의 두려움 때문에 정확한 내용을 말하지 않았다”면서 “노조 위원장 재선거에 따른 비밀 문건 등 특별조사를 앞두고 사측에게 불리한 자료들은 모조리 삭제한 것이 아니겠느냐”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작년 12월에 공개된 재선거 대응지침에도 노동부 조사내용 및 진술방침이 세세히 명시돼 (주)코오롱은 그간 노동부 조사 때마다 이런 행위를 조직적으로 저질러왔다”면서 “코오롱의 이런 행위는 새삼스러운 일도 아니”라고 말했다.
실제 (주)코오롱이 작성하고 노조가 폭로한 ‘Re-E’라는 제목의 문건을 보면 회사 관리자들은 이메일을 통해 노조 선거 결과에 따른 노사갈등이 반복되면서 시작된 노동부 소환과 관련해 소환 조사를 받을 경우 어떤 내용으로 진술하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지시하는 내용이 담겨져 있었다.
하지만 이번 폭로의 경우, 지난 폭로에 대한 진의와 사실 여부가 채 가려지기도 전에 터져 나온 것으로, 그 사실 여부를 떠나 특별조사를 앞두고 노조측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노조측에 유리한 국면을 조성하기 위해 사측과 노동부를 우회적으로 압박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 회사 “대응할 필요 못느낀다”
이에 대해 (주)코오롱 한 관계자는 “일주일에 한번씩 쏟아지는 노조측의 입장 발표에 대해 일일이 대응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면서 “노조측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노사양측이 이처럼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노동부는 16일부터 20일까지 (주)코오롱의 부당노동행위 및 노무관리 실태에 대해 ‘특별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노동부의 이번 조사는 조사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노조측이 제기한 모든 문제들에 대해 서면조사, 직접조사, 현장실사 등의 방법들이 총동원돼 실시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일배 노조 위원장은 이와 관련 “노조의 투쟁을 통해 어렵게 만든 기회”라며 “노조는 현장조합원들에게 자행된 부당노동행위와 인권탄압, 그리고 억울하게 비정규직으로 전락한 조합원들의 불법파견 문제를 중심으로 치밀하게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