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일본의 소득양극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는 보고가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이하 SERI)는 “소득양극화로 패전 후 일본사회를 지탱해오던 거대 중산층이 해체되고 있으며 소득격차가 심화됨에 따라 ‘전국민이 중산층’이란 의미의 '1億 總中流'(1억총중류)의식이 와해되는 추세”라고 9일 밝혔다.
삼성경제연구소(이하 SERI)는 "98년 이후 빈부격차와 계층간 소득 분포의 불평등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가 90년 0.433에서 2002년 0.5로 상승한 것은 국민 총소득 3/4을 고소득층의 4/1이 차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생각한 일본일들의 비중이 73년에는 61.3%에서 2004년엔 52.8%로 급격히 감소했으며 소득격차가 해소하지 않으면 2010년에는 '상(15%),중(45%), 하(40%)'의 사회가 도래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SERI는 소득양극화는 계층격차로 이어져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일본 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류층이 해체됨으로써 심각한 빈곤문제가 전면적으로 대두돼 OECD가 최근 발표한 각국의 소득분배와 빈곤 현상에 관한 보고서에 의하면, 일본의 빈곤율은 95년 8%에서 2005년 15.3%로 급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소득양극화의 배경으로 장기불황으로 인한 지속적인 높은 실업률, 임금노동자 간 임금격차의 확대, 신자유주의 시장중심 경제정책으로 저소득층의 소득의 상대적 감소, 고령화 급진전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