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재테크 컨설팅] 31세 직장인의 2006년 재테크 전략

가족여행비용은 적립식 펀드로 준비…자녀교육비와 노후 대책 미리 시작해야

허진영 기자 기자  2006.01.01 11:47:43

기사프린트

31세 직장인인 A씨. 현재 생후 16개월의 딸이 있는 A씨는 세후 190만원 정도의 한달 수입을 벌었지만 올해부터는 250만원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가까운 시일 내에 이사를 예정하고 있는 A씨는 이사와 3년 이내에 가족 여행을 계획 중에 있다.

A씨의 고정 지출
장기마련주택 : 40만원 (22회 납입)
청약저축 : 10만원 (현재 32회차 납입, 2년경과)
종신보험(부인,본인) : 20만원
딸 보험 : 5만원
부모님 용돈 : 20만원
기타 고정비용 (각종 모임 회비, 자동차 보험 등) : 15만원
기타 생활비 : 80만원

엉클조의 재테크 상담

안녕하십니까. 내년에 수입이 월 60만원 정도 증가를 하는데 이 금액을 어떻게 재테크를 해야할지 고민이신 거네요.

우선은 알려주신 정보를 바탕으로 질문 하신 분께서 지금까지 재테크를 잘해오셨는지, 부족한 부분은 없는지 등을 진단해 본 다음 잘해오신 부분은 계속하시고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개선 방향을 제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현재의 재무상태

자산
전세금 7,000만원
예/적금 3000만원
장기 주택 마련저축 880만원
청약저축 320만원
부채 없음
순자산 1억 1,200만원

현재의 현금흐름

소득
본인소득 190만원
지출
생활비 80만원
부양비 20만원
기타고정비용 15만원
보장성보험 25만원
저축
장주마 40만원
청약저축 10만원


조정 후 재무상태

자산
전세금 7,000만원
예/적금 3000만원
장주마 880만원
청약저축 320만원
부채 없음
순자산 1억 1,200만원


조정 후 현금흐름

소득
본인소득 190만원
지출
생활비 80만원
부양비 20만원
기타고정비용 15만원
보장성보험 25만원
저축
장주마 20만원
청약저축 10만원
개인연금펀드 20만원
적립식펀드A 15만원(가족여행용)
적립식펀드B 15만원
변액유니버셜 20만원


1. 현재 소득의 60% 정도로 필요한 소비를 충족하고 계시고 13% 정도는 위험관리비용(부부종신, 딸보험)으로 지출하시고 26%를 저축하고 계십니다.
외벌이 가정으로 따님과 함께 세분께서 생활비로 월 80만원 정도를 소비하고 계신 검소한 생활을 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이러한 검소한 생활이 바탕이 되어 부채 없이 순자산이 1억 1,200만원이나 되는 매우 양호한 가정경제를 이루고 계십니다.

2. 현재 가장 시급한 사항은 내년으로 예정된 이사와 관련된 부분입니다.
내년에 직장이 용인 쪽으로 이사를 하게 되고 출퇴근의 편리를 위해서 직장 근처로 이사를 계획하고 계시는 것이지요? 서울에서는 전세로 지내셨는데 혹시 집을 사셔서 이사를 계획하시는 것인가요? 아니면 전세로 이사를 하실 생각이신가요?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현재 8.31 부동산 정책 이후 집값이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고는 하지만 8.31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들면서 정부에서 추가적인 부동산 정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부동산 전문가들은 내년도 부동산 시장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실정입니다. 질문하시는 분도 잘 아시겠지만 부동산 정책이 나올 때마다 가장 주목을 받는 곳이 서울의 강남과 서울 주변의 신도시들입니다.

그런 면에서 용인도 마찬가지겠지요. 따라서 당장 주택을 구입하시기 보다는 죽전이나 수지로 이사를 가시더라도 주택을 구입해서 가시기 보다는 현재처럼 전세를 유지하시면서 2~3년 정도 꾸준히 저축을 통해서 목돈을 마련하신 후 주택 구입을 고려하셔도 현명한 선택이 되리라 봅니다.

3. 그런 의미에서 현재 불입하고 계시는 청약저축은 지속적으로 유지하시면서 소득이 증가하는 부분은 일부분만 소비하시고 나머지는 모두 저축을 하시면 2~3년 후에 주택을 구입하시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1순위 청약의 기회도 주어질 것이고 500만원 이상의 자금도 유익한 자금이 되겠지요?

4. 3년 후 가족여행의 이벤트를 준비하고 계시는데 600만원 정도의 예산을 잡으셨다면 외국으로 여행을 생각하시는 것이겠네요. 국내 여행도 좋지만 가족과 함께 외국에 한번쯤 다녀오시는 게 부부에게도, 따님에게도 소중한 추억이 될 것입니다.

가족여행 이벤트를 위해서는 월 15만원씩 적립식펀드에 투자를 하신다면 3년 후에 원하시는 자금이 모으실 수 있습니다.

5. 내년부터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근로소득세율 또한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소득공제가 되는 금융상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시는 현명함이 필요합니다. 현재 장기주택마련저축에 40만원씩 불입을 하고 계시는데 이 정도면 년 192만원 정도를 소득공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조금 조정하여 장기주택마련저축에 20만원, 개인연금펀드에 20만원으로 나누어 불입을 하시게 된다면 노후를 위한 조그만 준비를 시작하심과 동시에 연 336만원을 소득공제 받으실 수 있어서 소득 공제 혜택을 좀 더 많이 보실 수 있으십니다.

개인연금저축(펀드,보험)이 나중에 연금 수령 시 조건이 까다롭기는 하지만 납입액의 100%가 소득공제가 되는 것은 아시겠지요?

6. 만기가 돌아오는 예/적금 3000만원에 대해서는 이사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모르기 때문에 답변을 유보하도록 하겠습니다.

7. 마지막으로 아쉬운 부분을 지적해 드린다면 현재 구체적인 재무계획이 없다는 것입니다. 지금 당장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앞으로 따님의 교육자금(사교육비와 대학교육자금)이 지속적으로 들어가게 될 것이고 점점 노인 인구가 많아짐에 따라 은퇴 이후 노후의 편안한 삶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지금부터 세우셔야 합니다.

자녀교육자금과 노후는 15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준비를 하셔야 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변액유니버셜보험에 월 20만원씩 장기간 투자를 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8. 지금까지 검소한 생활을 해 오셨듯이 앞으로도 검소한 생활을 유지하시면서 꾸준한 저축과 투자를 통해 자산을 늘려가신다면 돈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는 일을 없으실 것으로 판단됩니다.

구체적인 정보가 더 있었다면 좀 더 세부적인 답변을 드릴 수 있었는데 알려주신 정보로는 질문하신 분의 제대로 된 포트폴리오를 제안해 드리기에는 많이 부족하여 피상적인 포트폴리오를 제안해 드릴 수 밖에 없다는 점이 매우 아쉽습니다.

재무에 대한 계획을 세우시고 그 계획에 맞는 저축과 투자를 하신다면 지금보다 좀 더 효율적인 저축과 투자를 하실 수 있으시고 원하시는 목표들을 좀 더 빠른 시간 내에 달성하실 수 있으십니다. 그러므로 꼭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질문하시는 분에게 맞는 재무계획을 세우시고 그 계획에 맞는 저축과 투자를 하시길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