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외환은행 노동조합과 하나금융지주가 조기통합과 관련해 여전히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외환은행 노동조합은 30일 하나금융지주 측에 공문을 보내 "어제 하나지주 측이 제공한 '2·17 합의서 폐기안'을 반송하고, '2·17 합의서 수정안'을 제시할 것을 하나지주 측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날 외환은행 노조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중앙법원이 최소 5년간의 독립법인유지와 독립경영을 핵심으로 하는 2·17 합의서의 법적 효력을 인정하는 가처분결정을 내렸음에도, 하나지주 측이 절충안을 제시할 경우 협상을 거쳐 2·17 합의서를 수정할 용의가 있다는 결정을 이룬 바 있다.
또 이후 노조는 상호 양보를 바탕으로 한 진정성 있는 대화와 대타협을 도모하기 위해 2·17 합의서 수정안 제시를 요구하기도 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어려운 금융환경에서 조직과 직원들의 상생을 위해 고심에 찬 양보안을 외환은행 노조에게 제시했다"며 "노조는 조직과 직원을 위한 길이 무엇인지를 다시 한 번 면밀히 검토해 의견을 제시해주기 바란다"고 제언했다.
이에 노조 관계자는 "하나금융 측이 2·17 합의서에 따른 조합 및 직원들의 이익을 함께 고려한 모종의 '절충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하나금융은 전일 회합에서 '2·17 합의서 수정안'이 아닌 금년 9월까지 조기통합 완료를 골자로 하는 '2·17 합의서 폐기안'을 제시했다"고 맞섰다.
더불어 "하나금융지주가 제시한 '2·17 합의서 폐기안'은 '2·17 합의서 수정안'으로 간주될 수 없다"며 "이를 기초로는 제대로 된 협상이 진행될 수 없어 이를 반송했다"고 첨언했다.
한편 노조는 "하나금융지주는 다시 한 번 숙고와 결단을 거쳐 진정성 있는 2·17 합의서 수정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도 전했다.
여기에 하나금융지주 관계자는 "조직과 직원을 위한 상생의 합의안"이라고 언급해 향후 노사 협상에 대한 진전 가능성이 더욱 불투명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