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해 하반기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평균시급은 6042원으로 조사됐고, 가장 많이 아르바이트생을 뽑는 지역은 상반기와 동일한 강남구'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음식점과 편의점이 가장 많았고, 아웃바운드·TM과 영업마케팅이 가장 높은 시급을 받는 직종으로 파악됐다.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이 서울시 25개 자치구 아르바이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 한국노동사회연구소와 함께 2014년 하반기에 등록된 채용공고 77만6501건을 분석한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그 결과 지난해 하반기 6개월간의 서울시 전체 평균시급은 '6042원'으로 상반기(5890원)대비 152원 상승했다. 이는 전국평균(5,734원)보다 308원 높고, 작년 최저임금(5210원)보다 832원 높은 수준이다.
서울지역 내 가장 아르바이트를 많이 채용하는 지역은 '강남구'가 7만 6188건으로 전체의 14.7%를 차지하며 연속 1위 기록을 이어갔고, 다음으로 '마포구'가 3만5542건으로 4위에서 2위로 뛰어 올랐다.
이어 서초구가 3만3024건으로 3위를 기록했다. 상위 3곳을 합하면 전체의 28%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작년 상반기 2위였던 송파구(2만9975원)가 4위에, 영등포구(2만8874원) 5위에 올랐다. 반면 채용공고수가 가장 적은 곳은 여전히 '도봉구'로 6124건(1.2%)에 그치며 최하위에 머물렀다.
업종별로는 전체 104개 모집업종 상위 40개 중 '음식점'(14.9%)이 6개월간 총 10만8780건으로 상반기보다 1만445건이 증가하며 최다 모집 업종 1위를 지켰다.
다음으로 편의점(9만4103건·12.9%), 패스트푸드(6만6860건·9.2%)로 조사됐다. 이어 △일반주점·호프(6만1720건·8.5%) △커피전문점(4만9509건·6.8%) △PC방(4만3428건·6.0%) △레스토랑(3만2486건·4.5%) △카페(3만2477건·4.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하반기에는 자치구별로 평균시급의 순위 변동이 심했다. 특이한 점은 서대문구의 약진이다. 평균시급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서대문구'(6419원)로, 상반기 12위에서 하반기에 1위를 차지하며 11계단이나 껑충 뛰어올랐다.
영등포구(6303원)도 5위에서 2위로 뛰어 올랐고, 마포구(6255원)도 8위에서 4위로 4계단 상승했다.
반면, 상반기 1위였던 강남구(6174원)가 6위로 내려앉았고, 3위였던 종로구(6008원)도 14위로 크게 밀려났다. 2위였던 동대문구(6268원)는 3위로 한 단계 내려갔다.
채용 공고 수 상위 40개 업종의 평균시급은 모집 수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아웃바운드TM이 9243원으로 가장 높았고 △영업마케팅이 9150원 △고객상담 8421원 △영화공연전시 7753원 △전화주문접수 7730원 순이었다.
반면, 채용공고수가 가장 많은 음식점의 평균시급은 6074원으로 20위로 나타났고, 편의점은 5434원으로 40개 업종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아르바이트 채용이 가장 활발한 곳 중 하나가 대학가다. 전체 아르바이트 채용공고 중 상위 10개 대학가를 분석한 결과, 건국대 주변이 3만 358건으로 가장 아르바이트생을 많이 뽑는 대학가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홍대 2만9854건 △서울대 1만4670건 △서울교대 1만4658건 △동국대 1만3030건 순이었다.
대학가 주변 평균시급은 홍대 주변이 6360원으로 가장 높은 시급을 기록했고, 다음은 성균관대 6206원, 서울대 6184원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이력서 분석을 통해 연령별 선호직종을 살펴본 결과 10대는 △음식점 △편의점 △패스트푸드 △카페 △커피전문점 순이었고, 20대는 △카페 △커피전문점 △사무보조 △음식점 △편의점 순으로 조사됐다.
10대에서 음식점(6074원)과 편의점(5434원)이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이유는 일자리 만족보다는 상대적으로 쉽게 일자리를 구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30대는 사무보조 업무를 가장 선호했으며, 다음으로 △자료문서입력 △커피전문점 △백화점 △고객상담 순으로 시급이 높거나, 근무환경이 좋은 곳들을 선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