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대기업 · 중소기업 상생협력 성과 가시화

상생경영투자 지난해 대비 29.8% 증가, 내년부터 30대 그룹으로 확대

이인우 기자 기자  2005.12.22 14:39:48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관계가 지난해에 비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산업자원부는 22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대기업 및 중소기업 대표, 경제단체장, 당정 관계자 등 70여명이 참석한 거운데 열린 ‘대 · 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위한 대책회의’  결과 이같이 밝혀졌다고 전했다.

이번 대책회의에 참석한 재계 대표는 정몽구 현대차 회장과 구본무 LG그룹 회장, 최태원 SK 회장 등 대기업 총수 11명, 강신호 전경련 회장, 김용구 중기중앙회 회장, 손경식 대한상의 회장 등 경제단체장과 구자겸 NVH코리아 사장 등 중소기업인 16명 등으로 미국에 체류 중인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은 건강상의 이유로 귀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 올해 10 그룹 계열사 상생경영투자 8317억원

이날 산업자원부 이희범장관이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0대 그룹 계열사의 상생경영 투자는 8317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29.8%가 증가하는 등 대폭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유형별로는 기술 · 인력 및 경영지원 관련 투자비중이 높은 가운데 정보화 · 마케팅 관련 투자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10대그룹의 중소기업 제품 구매물량은 70조8517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산자부는 이번 보고서에서 SK텔레콤이 신보에 20억원을 출연해 협력업체 250여 곳에 300억원의 보증지원을 시행했고, KT의 경우 ‘중소기업 자금지원 전용펀드’에 500억원을 금융기관에 예치, 협력사에 대해 시중금리보다 1% 낮은 금리의 신용대출을 시행하는 등의 성과를 올렸다고 밝혔다.

또 포스코의 경우 2003년 자사대비 57.7% 수준인 협력사 임금수준을 오는 2007년까지 70%까지 확대키로 하는 등 협력업체와의 임금격차 축소 성과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한전은 자회사 경영평가에 중소기업 지원실적 반영키로 해 지난 7월부터 전력 그룹사 사장 경영평가시 중소기업 지원실적에 대한 배점을 5점에서 10점으로 상향 조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 상생협력 제도적 기반 닦기 성과

한편 산자부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성과공유제, 휴면특허 이전, 대기업 인력의 중기지원, 수급기업 투자펀드 등 4대 핵심 추진과제의 성공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상생협력의 제도적인 기반이 어느 정도 갖추어진 것으로 평가했다.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국무총리 소속하에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위원회’를 설치, 중장기 기본계획과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 · 시행토록 하고 있으며, 기술 · 인력 · 마케팅 등 협력사업과 협력우수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산업연구원(KIET)이 최근 중소 · 벤처기업 297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2.8%가 “최근 대기업의 협력업체 지원계획이 양적 또는 질적으로 확대”되었다고 답변하는 등, 중소 · 벤처기업은 최근 대기업들의 상생협력 노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80.9%는 “최근 대기업이 발표한 협력업체 지원계획이 이행되고 있거나 이행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응답하는 등 대기업의 상생협력사업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

반면 중소기업은 최근의 상생협력 분위기가 향후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보다는 일회성으로 그칠 것이라는 전망(55.3%)이 다소 우세하게 나타났으나, 지난 7월 조사에서 일회성으로 그칠 것이라는 의견이 66.9%인 것에 비해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증가했다.

상생협력 지원확대가 이루어진 분야를 상생협력 유형별로 조사한 결과, 기술협력이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됐고 자금지원, 성과공유제, 전략적 파트너십, 마케팅협력, 경영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대기업의 기존지원이 확대된 업체 비율은 기술협력(29.9%), 자금지원(24.4%), 성과공유제(24.1%), 전략적 파트너쉽(23.1%), 마케팅협력(21.5%), 경영지원(15.5%) 등의 순이었으며 신규 대기업지원이 이루어진 업체의 경우 기술협력(9.0%), 자금지원(5.9%), 성과공유제(5.0%), 전략적 파트너십(7.5%), 마케팅협력(4.0%), 경영지원(7.0%) 등의 비율을 보였다.

◆ 향후 지속성 보장하는 제도화 관건

산자부는 그러나, 대 · 중소기업 상생협력은 40~50년간 고착화된 거래관행을 바꿔야 하기 때문에 ‘지속성’과 ‘제도화’가 앞으로의 관건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또 이같은 ‘지속성’과 ‘제도화’를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확고한 인식전환이 필요하고, 이미 확보된 제도적 기반 위에 지속적인 정부의 정책 시행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앞으로 산자부는 올해 ‘상생협력분위기 확산’을 바탕으로 2006년에는 ‘지속적인 상생협력 기반의 구축’을 정책방향으로 정하고, 대 · 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참여정부의 핵심 아젠다로 지속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지속적인 상생협력 기반 구축을 토대로, 2006년 10대 그룹의 상생경영투자가 금년보다 17.3% 증가한 9758억원, 중소기업 구매물량은 8.6% 증가한 76조9300억원으로 예측되는 등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이다.

특히 산자부 장관이 주재하는 30대 그룹 구조조정본부장 회의를 분기별로 정례화 함에 따라 상생경영도 10대 그룹에서 30대 그룹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또 내년부터 상생협력이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유통서비스분야에도 상생협력분위기가 확산되고, 상생협력이 ‘업종내’에서 ‘업종간’으로 확대되는 한편, 지역별 대형 · 중소유통업체간 상생협력 협의체가 구성돼 유통업계까지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 상생협력 분야 유통서비스업종까지 확대

산자부는 이밖에 대기업의 이전 가능한 특허기술에 대한 수요조사 결과를 토대로 휴면특허 이전도 활성화되고 대기업이 고용보험기금을 통해 중소기업 인건비의 일부(월 120만원)를 지원하는 계획도 본격 시행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특히 부품소재 공동기술개발사업이 올해 892억원에서 내년 1220억원으로 37% 대폭 확대되고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도 76개업체에서 120개업체로 대폭 확대됨에 따라 대 · 중소기업 공동 R&D도 크게 증가할 전망이라는 것이다.

한편 이번 간담회에서 현대자동차 이현순 사장이 금탑산업훈장, (주)아토 문상영 대표이사가 동탑산업훈장, 태화일렉트론(주) 신원호 대표이사와 (주)한조의 김승재 대표이사가 산업포장을 수상하는 등 올해 대 · 중소기업 상생협력 관련 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가졌다.

(주)포스코, SK텔레콤(주), 한국전력공사, (주)오알켐은 대통령단체표창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