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코오롱노조는 (주)코오롱의 노조에 대한 인권유린과 탄압 의혹과 관련,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청하는 진정서를 지난 13일 제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노조는 진정서에서 “코오롱은 노사관계에서 부당노동행위 수준을 넘어 헌법에 보장된 노동3권을 인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의 기본적 인간성을 말살시키는 행위가 백주대낮에 벌어져 왔다”면서 “이에 대한 불법적 인권유린 행위를 철저히 조사해 시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코오롱노조는 “(주)코오롱은 올해 초 1450여명의 조합원 가운데 431명을 비정규직으로 강제적으로 전락시키고 이 과정에 노조 전현직 간부 78명을 정리해고 시켰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또 “코오롱측의 정리해고에 반대하던 조합원이 지난 7월 10대 노조 위원장선거에 전체 조합원들의 지지로 당선됐으나 회사측은 노조 선관위원들을 매수하고 협박해 당선무효라는 어이없는 결과를 발표했고 이를 위해 ‘Re-E 전략’이라는 비밀 문건을 제작, 배포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또한 “코오롱 구미공장은 9개월째 수백 명의 용역경비원이 진을 치며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황폐화된 공장으로 전락했다”면서 “(노조원에 대한) 온갖 불법과 폭력이 난무하는 계엄령 상태를 방불케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 관계자는 “회사측의 부당노동행위와 노동탄압, 인권유린 및 선거 과정 전후에 발생했던 온갖 불법적 행위에 대한 명확한 증거 자료를 노동부에 수도 없이 제출했지만 노동부는 지난 10개월 동안 수십 건의 고소고발 사건 중 단 한건도 처리하지 않으며 ‘지금도 조사 중’이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면서 인권위 제소배경을 설명했다.
이 노조는 회사측의 일방적인 구조조정이 마무리된 시점인 지난 3월부터 HBC코오롱의 BMW, FNC코오롱의 헤드, 잭니클라우스, 엑티브, 아르페지오, 코오롱스포츠, 코오롱 건설의 브랜드인 ‘하늘채’ 등 코오롱 전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시작하는 등 회사측의 노조탄압 의혹을 제기해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주)코오롱은 지난 11월 구미공장의 구조조정과 정리해고로 공장에서 쫓겨난 코오롱 노동자들의 삶을 취재하던 KBS 스페셜 취재팀을 “산업보안을 위태롭게 한다”면서 무단침입 등의 이유로 경찰에 신고, 언론계와 노동계의 비난을 사고 있다.
또한 (주)코오롱은 앞서 지난 10월에는 이 회사 노조 위원장인 최일배씨 앞으로 “위원장을 사칭하며 요구하는 일체의 협의나 요청에 응할 수 없다”는 ‘위원장 사칭 및 부당행위 중지 요청’ 공문을 발송하는 등 노조탄압의 대표적인 기업이라는 지적도 받고 있다.
한편 (주)코오롱은 최근 경영상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경북 구미공장과 경산공장의 스판덱스 생산라인을 정지시킨 뒤 재택근무를 통한 고용보장을 주장하고 있으나 노조는 “또다시 구조조정이 시작될 조짐”이라며 강하게 반발하는 등 노사갈등의 위험수위가 높아지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작년 12월부터 인적 구조조정에 착수해 지난 2월까지 전체 직원의 38%를 감원해 무더기 실직사태의 원인을
제공했던 (주)코오롱이 또다시 대규모 구조조정을 본격화할 경우 구미 지역경제를 악순환시키는 요인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라는
비난을 살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