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1999년 16대 국회에는 교육상임위원회에 이사장 출신들이 많았죠. 17대 국회는 이사장 출신의원이 겨우 1명이네요.”
이번 사학법 통과의 쾌거가 ‘사학재단의 로비 차단 여건에서 비롯됐다’는 전국교직
![]() |
||
전조교 사립위원회 사무국장 김행수 씨 | ||
그는 덧붙여 “이번 사학법 통과는 비록 중재안일 지라도 의미 있고 진일보한 것”이라며 흐뭇해했다.
김 국장은 99년 당시 정희경, 김인곤, 박재욱, 김허남 등의 교육상임위원회 구성원들로 인해 사학법은 “개정이 아닌 개악으로 치달았다”고 했다.
◆ 보수언론, 좌파 편향시각 왜곡 이끌어
매년 있는 6.15 남북공동을 위해 남북수업을 위해 남북 교육자들이 평화와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한 자리에 모인 것도 전교조의 색깔을 친북으로 낙인시키는 데 한몫했다고 그는 말했다.
전교조, 교원총엽합회, 한국교원노동조합, 북한의 교원단체인 조선교육문화직업동맹 등이 자리를 같이 하는데 보수언론이 유독 전교조만을 부각시키며 ‘전교조는 친북 반미 언론’이라며 몰아세운것.
그는 전교조의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반대수업교육 자료에 대해 “모든 사안에는 비판적 시각과 긍정적 시각이 혼재돼있지 않은갚라고 반문하며 “몇몇 언론이 비판적 시각을 부각시켰다”고 강조했다.
이라크 반전 운동 또한 마찬가지다. “교사가 전쟁을 정당화하면 안 되죠.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주기 위함이었어요. 근데도 보수언론은 반전교육이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좌파적 이념’이라며 비난했죠.”
최근 사학법 관련하여 한나라당으로부터 집중공세를 받고 있는 김 국장은 앞의 사례를 들며, “한나라당은 냉전적, 독재시절에서 한치 앞도 나가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고 덧붙였다.
◆서로를 그대로 인정해주는 것 필요
그러나 그는 “한나라당을 먼저 비난하지 않는다”며 “생각이 다르다고 인정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갈수록 확대되는 한나라당과 전교조의 색깔논쟁의 대안으로 그가 제시한 것은 “서로를 그대로 인정해주자”는 것.
2007년으로 유보된 자립형 사립고에 대해서도 비교적 느슨한 태도를 보였다.
“자립형 사립고를 무조건 반대하는 것은 아니에요. 다시 보완해서 실시한 후 결정을 유보하는 게 현명하다고 봐요.”
그는 포항 제철 부산을 비롯한 6개 지역에 자립형 사립고가 3년 전부터 시범 실시되고 있는 자립형 사립고에 대해 사실 “정책의 평가가 나오기 전인 지금에도 그 부작용이 새어나오고 있다”고 귀띔했다.
“해보니까 교육의 빈익부 부익부 현상이 너무 두드러지더라고요. 현재와 같은 상태로 자립형 사립고의 ‘부작용’을 제도화하다니 말도 안 되죠.
변화가 필요해요.”
한나라당과 전교조의 대립각은 좀처럼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한나라당은 전교조를 자꾸 친북, 반미 세력으로 몰아세워요. 한나라당이 자립형 사립고와 개방형 이사제를 동시 추진했는데. 그렇다면 한나라당은 자립형 사립고와 친북, 반미를 지지하는 꼴이 됐네요.”
◆ 전교조엔 다양한 생각을 가진 이들 모여있어
“전교조는 노동조합 대중조직 중 하나로 다양한 생각을 가진 이들이 모여있다”라며 “50대 60대 부장 교사 분들은 한나라당 정책을 추종한다”는 김행수 사무국장.
그는 “전교조 내부에 한나라당 추종자라고 해서 조합을 탈퇴를 시킨다거나 전교조 내부에서 정치적 성향으로 편 가르지 않는다”며 전교조의 친북성향에 대한 여론의 동향에 손을 내저었다.
그러더니 ‘교육재정확충운동, 교원정원확보, 교사연수강화’의 문제에는 한나라당과 입장을 같이한다며 웃었다.
갈수록 대립으로 치닫는 한나라당과 전교조의 색깔논쟁은 김행수 사무국장에겐 괜한 소모전으로 보일 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