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Sketch
1) 유럽증시 분석 및 시황 소개
전일 유럽 증시는 에너지 관련주의 상승세로 오름세로 마감되었다. 유가가 상승한 영향과 함께 일부 기업들의 투자의견상향 조정 소식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전일 유가는 재상승세를 이어가면서 61달러대를 유지함에 따라 유럽 최대 석유회사인 토탈은 2% 상승했고 세계 3위 상장 석유회사인 로열덧치셀은 0.8%의 상승세를 보였다. 기업들의 투자 의견 소식으로는 지멘스가 도이치뱅크의 '보유'에서 '매수'로의 투자의견을 상향조정 소식으로 2.2% 올랐다. 프랑스 2위 자동차업체인 르노는 CSFB가 수익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경쟁업체보다 싸다며 주가 예상치를 10% 상향한 뒤 1.3% 상승했다.
2)
미국증시 분석 및 시황
소개
미국 증시는 상승세로 마감되었다. 전일 연준리가 다시 13번째금리 인상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4%에서 4.25%로 인상했으나성명서 문구에서 "경기 부양적(accomotive)"라는 단어가 삭제됨으로써 긴축 기조가 막바지에 달했음을 반영해 주었다. 시장참여자들의 예상과 맞물리는 이러한 결과는 투자 심리를 긍정적으로 이끌었으며 이에 따라 경기 성장 지속 가능성에 대한기대감이 작용하면서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투자자들은지금 바로 연준리의 긴축 정책이 중단되는 것은 아니라 한차례정도의 금리 인상이 더 예상되고 있지만 금리 인상 캠페인이중단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증시 부양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것으로 판단된다.
Vs Global Market
(1) 해외 통화 시장 동향 및 전망
통화시장에서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으나, 연준리의 성명서
문구에서 경기 부양적이라는 단어가 삭제되었다는 소식으로
상승폭을 거의 반납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금리 인상이중단될
경우 절대 금리 차에 따른 달러 강세 요인이 약화될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일단, 외환 투자자들은 이번주 남아 있는 경제지표를 대기하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는 연준리의 긴축
기조가 마감된다면 달러 강세 요인이 크게 약화되었다는점에서는
동의를 하고 있지만 남아 있는 경제지표를 통해서방향성을
확인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최근
시도된 달러 강세가 다시 약세로 돌아서기 위해서는정확한
예측과 향후 방향성에 대한 판단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남아 있는 소비자 물가지표, 무역수지, 그리고
해외 자본의 미국내 유입량 등 지금까지 외환시장에 매우중요한
영향을 미치던 지표들이 이번주 남아 있다는 점에서시장은
경제지표를 확인하기 원하고 있다.
(2) 미금리 시장 동향 및 전망
채권시장은 오름세로 마감되었다.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으로 오름세를 보였으며 최근 시도되던 매수 움직임이 힘을얻어가는 모습이다. 아직까지 금리 인상이 남아 있다고 예상하고 있으나 긴축이 마감될 것이라는 예상으로 시장은 일단오름세로 반영해 나가고 있다.
일부에서는 전일 성명서 문구에서 금리 인상이 마감되었다고 확실하게 언급하지 않았으며또한 에너지 가격 등의 상승에 따른 물가 인상 압력시 금리 인상에 나설 수도 있다는 의견도 유입되면서 다소 중립적인연준리의 태도로 이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한 성명서의문구에 대한 판단이 서기까지 좀 더 시장을 지켜봐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Global Summary
해외 금융 시장 전망
성명서의 문구가 시장투자자들이 예상했던 수준에서 발표가됨에 따라 시장은 일단 연준리의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금리 인상이 중단된다면 경기 성장세가더 확대될 것이며 투자자들의 이자에 대한 부담도 더 이상증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증시에 유리하게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성명서 문구 변화와 전체적인 판단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소 분분하다. 일부에서는 긴축 중단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하는가 하면, 일부에서는 정확한 표현의 부재로 인해서 기존의 연준리 정책 방향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는 의견도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준리의 성명서 문구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유입되는 시점까지 본격적인 움직임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미증시는 여러 호재들에 영향을 받으면서 기술적 조정에 대한 시도도 잘 버텨내고 있다. 일단,현재 시점에서 공격적인 포지셔닝 보다는 좀 더 보수적인운용이 필요한 때라고 판단된다. 외환시장은 금리 인상 중단에 대한 전망으로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따라 단기적으로 달러 청산 매물의 유입과 함께 기타 통화에 대한 매수세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술적인 반등 매물의 유입이 이어지는 가운데 당분간 달러화의 약세 기조를 테스트하는 매물의 유입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달러 강세 추세가 아직까지는 붕괴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단기 움직임을 쫓아가기 보다는 정확한 추세확인 후의 움직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채권시장은중기 상승 추세대로의 진입을 시도하기 위한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확한 방향성이 나서지 않고 있는 혼조양상이 시도되고 있다.
투자 의견 (3월물 기준)
품목 | 투자의견 | 지지대 | 저항대 |
E-mini 나스닥 |
중기 상승 추세 유지 15일선 지지대 작용 여부 테스트, 매도 div로 하락 조정 예상 |
1차 : 1714 2차 : 1704 |
1차 : 1728 2차 : 1732 |
E-mini S & P | 중기 상승 추세 유지
15일선 지지대 작용 여부 테스트, 매도 div로 하락 조정 예상 |
1차 : 1271 2차 : 1267 |
1차 : 1280 2차 : 1285 |
유로/달러 |
기존 박스권 돌파로 하락 추세 진입, 15선 저항대 작용 중단기 추세선 골드 형성 가능, 33일선 저항대 |
1차 : 1.2035 2차 : 1.2000 |
1차 : 1.2100 2차 : 1.2140 |
엔/달러 | 중기 하락 추세 지속
15일선 저항대 작용, 매수 div 발생 |
1차 : 8480 2차 : 8450 |
1차 : 8545 2차 : 8570 |
미국채 30년물 | 중기 하락 추세 - 단기 혼조세 예상
기술적 저항대 돌파 실패로 추가 하락 가능, 전저점 지지대 |
1차 : 112.00 2차 : 111.25 |
1차 : 112.18 2차 : 112.25 |
미국채 10년물 | 중기 하락 추세 - 단기 혼조세 예상
기술적 저항대 돌파 실패로 추가 하락 가능,전저점 지지대 |
1차 : 108.130 2차 : 108.070 |
1차 : 108.260 2차 : 108.320 |
Issue Analysis
이번주 경제지표 발표 내용 (2005 12/12~16)
발표일 |
경제지표명 |
발표시간 |
예상치 |
이전치 |
발표치 |
12일(월) | 재정예산 - 11월 | 04:00 | -$61.0B | -$57.9B | -$83.1B |
13일(화) | 소매판매 - 11월 | 22:30 | 0.4% | 0.3% | 0.3% |
소매판매(자동차 제외) - 11월 | 22:30 | 0.1% | 0.8% | -0.3% | |
기업재고 - 10월 | 00:00 | 0.5% | 0.5% | 0.3% | |
FOMC 정책회의 | 04:15 | ||||
14일(수) | 수출물가(농산물 제외) - 11월 | 22:30 | 0.6% | ||
수입물가(원유 제외) - 11월 | 22:30 | 0.8% | |||
무역수지 - 10월 | 22:30 | -$63.0B | -$66.1B | ||
주간원유재고량 | 00:30 | 2,720,000 | |||
15일(목) | 소비자물가지수(핵심) - 11월 | 22:30 | 0.2% | 0.2% | |
소비자물가지수 - 11월 | 22:30 | -0.4% | 0.2% | ||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 22:30 | 327,000 | |||
뉴욕 제조업 지수 - 12월 | 22:30 | 18.4 | 22.8 | ||
자본 순유입량 | 23:00 | $101.9B | |||
설비가동률 - 11월 | 23:15 | 79.8% | 79.5% | ||
산업생산 - 11월 | 23:15 | 0.5% | 0.9% | ||
필라델피아 제조업 지수 - 12월 | 00:00 | 14.0 | 11.5 | ||
16일(금) | 경상수지 - 3분기 | 22:30 | -$203.6B | -$195.7B |
* 경제지표발표 일정 및 내용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경제지표 내용을 확인하시거나 추이 그래프를 확인하시려면 www.krfutures.co.kr
통계/지표 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ww.krfutures.co.kr의 해외선물 시황란에 "모닝 브리핑"을 통해
전일 해외 시장에 대한 브리핑을 보실 수 있습니다.
투자 및 시황상담 : KR선물(주) 과장 남동완 (2168-7405(직통)), don@krfutures.co.kr
본 시황은 투자 고객을 위한 정보제공이 목적입니다.투자자를 위한 참고 자료이며 KR선물 및 정보제공자에게는 어떠한 법적인 책임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