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가 2006년 146만2000명에서 지난해 286만2000명으로 4년 사이 2배나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환자 수도 이 기간동안 3082명에서 5852명으로 연평균 17.4%나 증가해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들은 가슴쓰림이나 산 역류 등으로 인한 수면장애로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8개 대학병원에서 위식도역류질환 건강강좌에 참여한 7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6%가 1주일에 1일 이상 가슴쓰림이나 산 역류 등으로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이 자주 호소하는 증상으로는 위산이나 음식물이 목구멍이나 입까지 역류하는 증상(59%), 중∙상 복부 중앙(명치)에 통증(53%), 가슴쓰림이나 타는 듯한 증상(52%), 메스꺼움 증상(42%)을 나타났다. 이 같은 증상은 환자들의 정상생활을 힘들게 하며 수면장애로 인한 피로감 증가는 사회생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삶의 질까지 위협할 수 있는 통증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응답자는 증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없이 자의적으로 약물을 복용하는 등 치료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2%가 통증 완화를 위해 일주일에 1회 이상 약국에서 제산제 등을 구입해 복용하며 14%는 일주일에 4~7일 복용한다고 답했다. 제산제 등의 약물은 단기적인 증상완화에 도움이 될 뿐 자칫 치료시기를 놓쳐 위식도역류질환이 만성화 원인이 될 수 있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이용찬 교수(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위식도역류질환 연구회장)는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유병률이 급증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질환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어 “위식도역류질환은 전문적인 치료제로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증상이 재발하기 쉽고 만성화될 수 있는 만큼, 증상 초기부터 정확한 진단 진단을 받고 약물치료와 생활습관 교정 등을 통해 꾸준히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위식도역류질환 인식을 증진시키고 올바른 질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후원으로 ‘위식도역류질환 길들이기’ 건강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전국 12개 병원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오는 16일에는 동국대학교 일산병원에서 건강강좌가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