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당내 입지가 더욱 튼튼해지면서, 비준안 ‘날치기’로 벼랑 끝 위기에 내몰린 한나라당을 구원하기 위한 다양한 카드를 ‘만지작’거림과 동시에 이를 위한 당 쇄신 논의를 진두지휘하고 있는 형국이다.
25일 여권에 따르면, 여야간 대충돌에도 불구하고 표결처리에 성공한 홍 대표에 대해 친박계를 비롯해 쇄신파 등 일부 진영에서는 ‘비판’에서 ‘지지’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공천 쇄신’ 문제 등에 대해 힘을 실어주는 등 ‘홍준표 체제’와 지향점을 같이 하고 있다.
홍 대표는 이런 분위기에 힘을 얻어, 내년 예산에서 복지분야를 대폭 강화하고 부유층을 대상으로 세금을 인상하는 이른바 ‘버핏세’를 도입하겠다고 밝히는 등 ‘정책 쇄신’에 올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홍 대표는 지난 24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미 FTA로 인해 피해를 보는 농·어·축산업에 대한 대책과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책은 이미 여야 합의안에 100% 마련돼 있다”며 “기존 대책 이외에 어떤 부분을 추가로 대책을 세워야 할지 정부와 정책위에서 면밀한 검토해라”고 지시했다.
또 정책위를 향해, “민생예산에 대한 준수정예산에 버금가게 민생에 역점을 두고 예산편성을 해달라”면서 “29일 당 쇄신을 위한 국회의원·당협위원장 연석회의, 쇄신연찬회도 개최하기로 했다”고 언급, 대대적인 쇄신을 예고했다.
그는 특히 “최근에 부자증세 문제가 또 제기됐다. 정부 일각에서는 반대를 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세법체계가 28년 전인가 만들어졌던 최고세율구간이, 28년 전에 처음 만들어질 때 8,800만원이라는 최고세율구간이 그 당시의 대상은 만 명뿐이었지만, 지금은 28만 명에 이르고 있다”면서 “그래서 8,800만원 소득을 갖는 사람이나 100억의 소득을 갖는 사람이나 같은 세율을 적용한다는 것도 우리가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홍 대표가 ‘예산국회’ 분위기 속에서 국면전환 카드를 하나 둘씩 꺼내들고 있는 셈이다.
이와 관련 홍 대표는 “한나라당이 나아갈 길과 변화의 방향에 대해서 치열하게 토론을 하고, 그 토론의 결과를 모아 최고위원회의에서 쇄신의 방향에 대해 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오는 29일로 예정된 ‘대규모 쇄신 연찬회’에서 나온 끝장토론 결과를 곧바로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친서민 내각으로의 개편을 요구할 것이라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당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미 당내 쇄신파 의원들은 이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친박(박근혜)계인 유승민 최고위원도 최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 예산안 처리가 언제 될지 굉장히 불확실한 상황이 되어버렸다”면서 “그래서 예산안 처리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우리는 당 쇄신에 대해서 그것을 예산과 무관하게 예산은 예산대로 처리를 하되, 당 쇄신 논의는 즉각 시작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래저래 홍 대표가 주도하는 ‘쇄신 드라이브’는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탄력을 쉽게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나라당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21’은 25일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부자증세와 비정규직 대책강화 등 정책쇄신 방안을 확정, 발표했다. 홍 대표가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부자증세를 언급, 당 정책위원회 차원의 검토를 지시한 직후다.
한미 FTA 날치기 논란 속에서 한나라당 전체가 잠시 숨을 고르는 모양새를 취하고 있지만, 홍 대표의 어깨에는 힘이 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