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민주당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25일 “통합이라는 명분도 필요성이 있지만 절차적 준수도 중요하다”며 “이 때문에 합법적인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SBS 서두원의 시사초점과의 인터뷰에서 “민주당원 누구나 야권대통합에 대해 적극적으로 찬성하지만 정치적 통합을 앞두고는 필연코 절차적 문제가 함께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이 자리에서 “정당에서의 정치적 결단은 구성원들의 합의가 이뤄졌을 때는 초법적 결정을 할 수 있지만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구성원이 승복하지 않을 때에는 법적 절차에 맞아야 한다”며 “설사 정치적 절차가 이뤄지고 통합이 이뤄진다고 해도 당내에서 합법적 절차가 이뤄지도록 함께 검토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손학규 대표가 누차 공개적인 회의에서 ‘11월27일까지 혁신과 통합 등과 통합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12월17일 이전에 민주당 전당대회를 갖겠다’고 했기 때문에 그 사이에 많은 대화가 오고가서 좋은 결과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3단계 통합론과 관련해선, “먼저 민주당 전당대회를 열어 지도부를 선출하고 새 지도부에 통합 위임을 하자는 것이고, 혁신과 통합도 창당을 해서 지도부에 야권통합에 대한 권한을 위임하면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의 수임기구가 1월중에 통합을 결정하는 것”이라며 “그러면 정치적 법적 절차에 어떤 하자도 없이 통합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상임대표 등의 영입 문제와 관련해선 “그 분들도 모양새를 갖춰서 함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며 “특히 문재인 대표는 국민적으로 상당한 지지를 받기 때문에 민주당과 함께 통합해서 손학규 대표 등과 경쟁한다면 국민이 인정하고 당원이 검증해서 훌륭한 대선후보가 될 수 있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민주당은 지난 10년간 젊은피를 수혈하지 않아 스스로 늙어가고 기득권화 됐다”면서 “젊은 청년들에게 제도적으로 국회에 들어올 수 있도록 많은 기회를 부여해서 인센티브를 주고, 특히 비례대표는 100%에 가까울 정도로 젊은 인재를 영입해 당의 메기 역할을 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