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달게 먹는 식습관을 가진 남성이 여성보다 비만,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 이하 식약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설탕, 쨈류 등 첨가당을 섭취하는 정도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조사결과 이 같이 밝혀졌다.
이번 조사는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실시한 우리나라 성인 1만6992명(남성 9831명, 여성 7161명)을 대상으로 6년에서 12년간 진행됐다. 그 동안 총 당류에 대한 연구가 이뤄진 적은 있지만 식품제조나 조리 시 첨가되는 설탕, 시럽 등 첨가당에 대한 장기간주척조사(코호트 연구)가 수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연구결과, 우리나라 성인들의 첨가당 섭취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달게 먹는 식습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하루 평균 첨가당 섭취량은 1999년 13.1g에서 2008년 17.8g으로 36% 증가했다. 남성은 17.6g, 여성은 11.8g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첨가당을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남성이 여성보다 첨가당과 대사증후군간의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당대사장애,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등 5가지 요소 중 3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로,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전체 조사 대상자 중 대사증후군이 발생한 사람은 1896명으로, 전체의 13.7%를 차지했다. 이를 우리나라 인구 1000명당 1년간 발생 수로 환산하면 남성 39.1명, 여성 26.9명에 해당된다.
특히, 남성의 경우 첨가당을 적제 섭취하는 그룹(8g/day이하)보다 높은 그룹(22g/day이상)에서 대사증후군의 요인 중 비만 위험은 28%, 고중성지방혈증 위험은 22%, 저HDL콜레스테롤혈증 위험은 35%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첨가당 22g 섭취는 일반적으로 콜라∙사이다 등 탄산음료 한 캔으로 충족될 수 있다.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첨가당 섭취량 정도와 대사증후군 발생과의 의미있는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여성호르몬이 LDL콜레스테롤을 낮추고 HDL콜레스테롤을 늘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식약청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 총 열량과 상관없이 첨가당 섭취가 많아질수록 비만위험도가 높아져 만성질환 발생 위험도가 커지는 것이 확인됐다”며 “식품 조리 시 설탕, 시럽 등 첨가당을 적게 넣고 식품 구매 시 식품표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해 덜 달게 먹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