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박원순-김문수 “협의창구 만들어 상시협의 필요” 공감

최봉석 기자 기자  2011.11.24 10:20:07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박원순 서울시장이 24일 서울 서초구 매리어트 호텔에서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만남을 갖고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박 시장은 이날 비공개 조찬감담회 이후 “경기도와 서울은 인위적으로 행정 경계는 있지만 실제는 하나의 공동운명체”라면서 “그동안 여러가지 현안이 있었지만 충분히 협의가 안된 부분이 있어, (앞으로) 자주 뵙고 공동 체제라고 할까. 앞으로 고민해서 함께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지사는 “서울이 경기도민 일상생활에 매우 중요한 차지한다. 특히 중요한 문제가 교통문제”라면서 “특히 대중교통 문제가 큰데 버스의 환승할인 또 노선문제, 이런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데 박원순 서울시장이 긍정적으로 경기도민들의 고충과 애로를 알고 긍정적 방향으로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조통조합을 활성화 시키고 대중교통 부분에서 협력을 하기로 긍정적으로 말씀해 주셨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뿐만 아니라 공무원끼리 교류협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여러 가지 협력 활동을 강화해 나가는, 전향적으로 검토해 나가는 방향으로 해주셔서 환영하고, 경기도도 서울시 애로 사항에 협력하고 양자간 협력을 깊이해 소통하고 주민 위주와 시민 위주로 행정해 나가는 방향에서 공감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매우 유익하고 협력을 높이는 좋은 자리여서 기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박 시장은 “김 지사님을 뵈니 역시 고단수”라면서 “이야기 나눈 전반을 굉장히 긍정적으로 잘 말씀해 주셔서 도민 기대가 클 것으로 본다. 충분히 협의할 것이고 지난번 협의를 잘 했는데 꼭 그렇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협력하는 자세로 양 지자체 문제를 해결해 가면, 여러 가지 발전이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의견접근이 힘들었던 부분”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서 박 시장은 “구체적으로 많은 현안을 논의한 건 아니어서 앞으로 일상적 협의를 함으로로써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고, 김 지사는 “힘들었던 건 없고 수도권과 지방, 서울과 경기를 떠나 전국이 하나로 뭉치는데 서울이 수도 서울로써의 응분의 역할을 잘 해나가고 노력해 나가겠다는 말씀에 저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박 시장은 서울시와 경기도 사이에 가장 민감한 이슈인 버스요금 인상에 대해서는 “요금 인상은 경기도는 이미 결정해 놓은 상태고, 서울시는 결정 과정에 있어 인상의 필요성에 대해 말씀을 들었고 나머지는 서울에서 검토를 거쳐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버스요금은 이미 시장님 취임 전에 담당 국장들이 모여 합의가 돼 있었다. 26일부터 올리기로 이미 합의했는데 그간 시장님이 바뀌셨고, 지금은 서울시가 요금 인상 결정을 하더라도 전산부분 처리 문제 때문에 26일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면서 “기본적으로 시장님 취임 전에 합의한 바가 있고, 버스요금이 지난 4년 8개월간 인상이 없었고, 인천과 경기는 26일부터 시행하기로 공고한 상태다. 서울은 절차를 진행하셔서 결정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이날 회담에선 정치적인 문제는 전혀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참석자는 “정치적 문제는 나오지 않았다”면서 “정무부시장 참석은 서울 경기 협약 업무를 맡고 있는 부분이기에 하신 것”이라고 말했다.

회담의 시작은 김 지사의 ‘덕담’으로 시작됐다.

박 시장은 회담 전 약속시간 보다 먼저 와있던 김 지사에게 “가까이 있는 사람이 늦는다. 죄송하다”고 인사한 뒤 “김 지사님과 옛날 인연이 있었다. 지사님 노동사건으로 감옥에 가셨을 때 제가 그때 변호인단 한명이었다. 그때 알아봤다. 지사님이 재판부를 완전히 압도하는 모습이었다. 변론이 워낙 탁월해 변호사들이 별 도움이 안됐다. 정치권 선배님이시니 많이 가르쳐달라”고 인사말을 건넸다.

김 지사는 이에 “시장님이 변호사 하실 때 제가 서노련 사건 구속됐을 때 변호인 활동으로 도움을 주셨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한편 양측 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회담에선 교통문제가 주요 현안으로 다뤄졌고, 경기와 서울이 협의창구를 만들어 상시협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주고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 관계자는 “지금까지 서울과 경기도 지자체가 다르기에 생기는 문제들이 있었는데, 결국 이 벽을 뛰어넘어 주민 시민 위주로 행정을 해나가는 협조정신을 언급했다”면서 “상호 윈윈정신을 어떻게 펼쳐갈 것인가에 대한 논의였다”고 말했다.

특히 대승적 차원에서 수도권 주민들의 편안한 삶과 일자리 문제에 대해서는 ‘건설적 협의’를 펼치는데 첫 단추를 끼웠다고 경기도 대변인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