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증권가 “대선주자, 그들을 믿지 마세요”

안랩·대현·솔고바이오 등 폭락…털어야 할 ‘테마株 리스트’

이수영 기자 기자  2011.11.21 17:34:45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21일 주식시장 일부 종목에 ‘금감원발(發)’ 악재가 덮쳤다. 이달 한 때 10만원대까지 치솟았던 안철수연구소가 전일대비 10.83% 추락한 7만5000원까지 밀렸고 주간 상승률 40% 이상을 기록했던 솔고바이오와 대현은 가격제한폭까지 주저앉았다. 이들의 공통점은 대선주자를 내세운 ‘테마주’라는 것. 금융감독원은 이날 해당 종목들 뿐 아니라 정치인 테마주에 대해 조사에 착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터였다.

금감원은 테마주 단속과 관련 신속한 증거확보를 위해 검·경찰 등 수사기관과 협력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최근 증권가에는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와 내년 총선·대선 등 굵직한 정치 이슈를 둘러싸고 60여개 이상의 ‘정치인 테마주’가 난립해 문제로 지적돼 왔다.

◆건드리면 안 될 ‘테마주 리스트’

금감원은 이날 대현과 솔고바이오 등에 대해 불공정거래 여부와 안철수연구소 2대주주인 원종호씨의 지분보고 위반 내역에 대해 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가장 ‘핫(hot)’한 대선주자 테마주들이 줄줄이 감시 대상에 오른 것이다.

   
21일 주식시장에서 유력 대선주자 테마주로 꼽히는 안철수연구소, 솔고바이오, 대현 등이 급락했다. 안철수연구소는 전일대비 10.83% 추락한 7만5000원까지 밀렸고 주간 상승률 40% 이상을 기록했던 솔고바이오와 대현은 가격제한폭까지 주저앉았다. 금감원은 이날 해당 종목의 불공정거래 여부 등을 조사해 빠른 시일내에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대현은 지난 6월 회사 대표와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함께 찍은 허위 사진이 유포된 이후 1000원 내외였던 주가가 2개월 만에 4440원까지 급등한 바 있다. 솔고바이오는 사외이사로 재직 중인 이민화씨가 안철수 서울대융합기술대학원장과 절친하다는 소문이 퍼진 뒤 지난 11일 정치인 테마주에 이름을 올렸다. 이후 회사 주가는 5거래일 만에 49% 이상 급상승했다.

금감원의 조사 착수 소식이 알려지자 이들 종목은 21일 장중 폭락했다. 솔고바이오와 대현은 전거래일대비 가격제한폭까지 추락했으며 안철수연구소도 10.83% 폭락한 7만5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증권가에서는 이미 온라인 메신저를 중심으로 이들 종목 외에 추가로 주의해야할 ‘테마주 리스트’가 돌고 있다. 문제의 리스트에는 이른바 ‘박근혜 테마주’인 보령메디앙스, 아가방컴퍼니를 비롯해 모나리자, 윌비스, 케이씨피드, 쌍방울, 능률교육, 대유에이텍, 디지털대성, 세진전자, 메타바이오메드, 대영포장, 유성티엔에스, 클루넷, 오늘과내일 등이 포함됐다.

◆“실제 처벌보다 경고 의미 커”

금감원은 △정치인·연예인 등 특정 유명인사와 상장기업 관계자의 친분관계나 정책 관련성에 대한 미확인 사실을 배포하거나 △사업내용을 허위 또는 과장해 유포하는 행위 △주관적인 기업분석 자료를 작성·배포하는 행위 등을 집중 단속할 계획이다. 또 유사투자자문업자에 대한 불공정거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증권방송, 주식관련 인터넷 카페 등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할 예정이다. 테마주의 근원인 ‘루머’를 뿌리부터 자르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단속과정이 실제 관련자 처벌보다는 불특정 투자자와 작전세력에 대한 ‘경고’로 작용할 공산이 높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금감원 관계자도 언론 인터뷰를 통해 “단순 정보 전달자는 처벌하기 어렵고 테마주 관련 처벌은 판례가 많지 않아 명쾌한 조사결과가 나오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감독당국이 시장을 감시하고 있다는 일종의 ‘사인’을 주는 것이 단속강화의 목적이라는 얘기다.

21일 시장에서 관련주가 폭락한 것도 시세차익 실현보다는 단속을 피하기 위한 매도일 가능성이 높다.

현대증권 임복규 종목분석팀장은 “소위 ‘작전세력’은 물론 일반 투자자들도 감독기관의 단속을 가장 두려워한다”며 “일부 종목들은 관련 소식이 전해지기 전까지 상승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보였다. 투자자들도 주식을 바로 파는 것보다는 추가 상승 기회를 지켜보는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임 팀장은 “우리 시장의 부정적인 투자 관행 중 하나가 펀더멘털보다 정치적 이슈와 같은 단기적인 탄력에 편승하는 것”이라며 “터무니없는 투자심리를 자극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당국의 단속이 일반 투자자들의 피해를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