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소득 1분위(하위 20%)의 전체 소비지출은 122만3000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5.7% 증가했다. 그 중 식료품∙비주류음료를 사용하는데 쓴 비용은 27만9000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7.2% 늘어났다.
이에 1분위 엥겔계수는 22.8%로 지난해 같은 기간 22.5%보다 더 악화됐다. 2004년 3분기 24.4% 다음으로 가장 높아 7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엥겔계수란, 전체 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이 차지하는 비율로,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일반 식당과 배달음식, 패스트푸드 등에 쓴 비용인 ‘식사비’까지 포함하면 1분위 실질적 엥겔계수는 33.0%까지 올라간다. 저소득층 소비의 1/3이 식생활에 사용된 셈이다.
물가 수준을 고려한 실질 기준으로 보면 소비지출은 2.1% 증가했으나 식료품∙비주류음료는 1.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물가가 올라서 먹을거리를 사는 데 쓴 돈은 늘었지만, 실제 먹는 양은 오히려 줄어들었다는 의미다.
전체 가구의 엥겔계수도 3분기에 15.0%로 고유가로 물가가 급등했던 2008년 3분기(15.1%)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았다.
한편, 3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4.8%로 2008년 3분기(5.5%)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았다. 품목별로는 기타농산물이 22.1% 급등했고, 곡물(13.4%), 축산물(9.3%), 수산물(9.9%), 과실(8.6%), 가공식품(8.0%) 등도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