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시판 계란 39%가 저품질이라는 조사결과 발표로 계란의 품질등급에 대한 소비자들이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적극적인 계란등급제 홍보에 나섰다.
각 양계장에서 생산된 계란은 각 지역의 계란 집하장에 모이게 된다. 여기서 계란은 축산물품질평가원 주관 하에 외관, 투광, 할란 판정을 통해 크기와 무게, 오염여부, 이물질 유무 등을 확인해 품질등급을 부여받는다.
계란의 품질등급은 △1+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등 4개 등급으로 나뉜다. 생산된 지 3일 이내 계란만 등급판정 자격이 있으며, 등급란의 경우 20~50주령 이하의 젊고 건강한 닭에서 생산된 1등급 이상의 계란으로만 시판된다. 그렇다면 1등급 계란은 일반 계란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축산물품질평가원 관계자는 “계란을 깨뜨렸을 때, 조리 후 씹었을 때 식감에서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 |
||
계란등급제 시행으로 등급란은 1등급 이상 계란으로만 시판되고 있다. |
한편, 계란등급제는 지난 2001년 첫 시행됐으며 등급판정 물량은 매년 25% 가량 증가하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 관계자는 “계란등급제 시행은 생산자가 좋은 품질을 생산하도록 하고 소비자는 안심하고 신선한 계란을 구입할 수 있게 해 계란 소비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11월중 공식 블로그를 오픈해 적극적인 계란등급제를 홍보하는 등 소비자들에게 안전한 식품 선택 가이드를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