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보조금을 불법·부당하게 집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광주장애인총연합회(회장 장경수)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광주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위원장 문상필)은 오는 18일 광주장애인총연합회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하고 보조금집행과정에 대한 시의 감독소홀 여부와 지급과정에서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검증한다.
광주장애인총연합회는 지난 9월 ‘다수의 보조금 사업들이 목적과 달리 불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시민사회단체들의 질타를 받은바 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광주은행이 중증 장애인을 위해 쓰라고 제공한 이동 목욕차량을 개인사업장에서 운용하고, 차량 운영을 위해 시가 지원한 보조금 2200만원의 사용처가 불분명하다”고 말했다. 또 “장애인 상담전화에 지원된 2500만원도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특히 “자판기 119대에 대한 수익금의 규모와 용처를 밝힐 것”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광주시 노인장애인복지과는 자체조사를 실시하고 환경복지위원회 의원들에게 답변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은미(민주노동당.환복위) 의원은 “장애인복지과는 관련된 의혹들에 대해 최근 3년치 증빙자료를 제출했지만 서류조작 등 의심스러운 점이 다소 발견됐다”고 밝혔다.
특히 이동 목욕차량을 이용한 것으로 적시된 A씨의 경우, 확인결과 그 기간에 타지에서 개최된 장애인체전 등에 참석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강은미 의원에 따르면 이 경우를 제외하고도 의심스러운 것이 다소 있는 상황이다. 강 의원은 “의혹이 진실로 밝혀졌을 경우에는, 보조금 환수 및 행정적․형사적 처벌 등의 후속조치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이날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애인단체에 지원되는 보조금 대부분이 행사성 예산으로 편성됐고 소수단체에 편중돼 있다”며 장애인단체의 특성을 감안한 예산편성을 주장할 예정이다.
한편, 광주장애인총연합회는 지난 9월14일 성명을 통해 “지역장애인을 위한 모든 활동이 매도되는 듯하여 상심을 금할 길이 없었다”고 밝힌바 있다.
또 “사실여부에 대한 논쟁보다는 공식적인 절차와 방법을 통해 문제제기에 대해 확인하고 광주장애인총연합회의 명예를 회복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