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안철수 서울대 융합기술대학원장이 본인 소유의 안철수 연구소(이하 안랩) 지분 절반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14일 오후 밝혔다. 이 영향으로 15일 개장 직후 안랩 주가가 천정부지 치솟았다. 이른바 ‘정치인 테마주’의 위력이다. 안 원장의 기부 선언이 본격적인 정치행보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라는 게 증권가의 해석이다. 15일 정오 현재 안랩의 주가는 전일대비 1만2200원(14.99%) 치솟아 상한가인 9만3600원을 기록 중이다.
최대주주인 안철수 원장의 지분 규모는 37.1%, 총 372만주다. 14일 종가기준(8만1400원)으로 약 3028억원에 이른다. 안 원장이 발표대로 지분 절반을 내놓는다면 186만주, 약 1514억원의 대규모 사회기부가 이뤄지는 셈이다.
◆실제 기부규모, 환원방식은?
안랩 관계자는 “지분 환원 시점과 방식은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정치권과 재계 등에서는 안 원장이 출연한 지분으로 공익재단을 설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안랩의 현 주가와 앞으로의 성장성, 환원될 주식 규모 등을 고려하면 직접 현금화 할 수 있는 방법은 제한적이다. 또 실제 손에 쥘 수 있는 현금액도 알려진 1500억원보다 훨씬 적을 수 있다.
![]() |
||
안철수연구소 주식보유 현황. 안 원장은 현재 안랩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 중이며 안철수 원장이 37.1%, 자기주식분 13.9%, 개인 투자자로 알려진 원종호씨가 10.8% 순으로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
먼저 주당 배당금으로 현금을 마련할 경우다. 지난해 기준 안랩의 주당 배당금은 400원으로 이를 186만주로 계산하면 배당수익은 7억4400만원이다. 이를 연리 4%로 계산하면 약 200억원을 현금 기부한 것과 비슷하다. 기대한 1500억원보다 훨씬 못 미치는 액수다.
가장 직접적인 현금화 방법은 안 원장이 보유지분 전량을 현금화 한 다음 안전자산 등에 묶어 수익률과 함께 이를 기부하는 방법이다. 수익률 4%의 은행예금 기준으로 약 60억원의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지분매도 과정에서 주가폭락이 불가피하다는 게 문제다.
갑작스런 주가하락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블록딜을 고려할 수도 있다. 국내 보안백신 산업의 대표주자인 안랩의 인수를 꾀하는 기업이라면 솔깃한 제안이다. 특히 안 교수가 대선출마를 선언할 경우 잔여지분 186만주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부물량으로 풀리는 18.55%의 지분을 확보하면 1대주주로 올라서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다.
문제는 가격이다. 15일 오전 11시 현재 안랩의 PER((Price Earning Ratio·주가수익비율)은 64.82배로 동일업종 PER 37.70배보다 훨씬 높다. PER은 주가와 주당순이익의 비율로 주식 1주당 수익의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다. PER이 높다는 것은 주당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높다는 뜻이다. 현재 코스피 시장 평균 PER은 8배 미만이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해도 지나치게 비싸 블록딜에 응할 투자자가 있을지 미지수다.
◆안랩 향후 주가와 지배구조는?
투자자들의 관심은 과연 안랩의 상승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인지에 쏠려 있다. 안철수 원장의 정치적 파괴력이 입증된 직후 안랩의 주가는 드라마틱하게 요동쳤다. 지난 1월 3일 1만9300원이었던 주가가 서울시장 선거를 거치며 5배 이상 불어난 셈이다. 지난달 가격제한폭인 10만원까지 치솟자 한국거래소는 같은 달 25일 안랩을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했다.
증권가에서는 최근 안랩의 주가 추이가 시장논리로 설명할 수 있는 상식에서 크게 벗어났다는 의견이다.
한 증권사 중견 애널리스트는 “한컴(한글과컴퓨터)과 함께 안랩은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업종을 대표하는 ‘대장주’였지만 이미 주식시장에서는 5~6년 전부터 소외된 종목 중 하나였다”며 “안정적인 실적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초반 같은 성장성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서 수년 동안 애널리스트들의 관심에서 멀어졌다”고 말했다.
또 “특히 안랩은 상장사가 아닌 독립된 ‘팀’으로 봤을 때 상당히 신뢰감이 높은 기업이었지만 최근의 주가급등은 논리적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라며 “PER 등 수치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조차 무의미하다”고 귀띔했다.
대신증권 강록희 연구원은 지난달 26일 발표한 리포트에서 “안철수연구소의 현재 주가는 펀더멘탈 보다 대선 테마 관련 내용이 반영돼 오버슈팅(과열) 상태”라면서 “현재 주가 수준을 고려할 때 목표주가나 투자등급 제시는 무의미하다”고 판단했다.
대신증권은 이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목표주가와 투자등급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올해와 2012년 예상 주당순이익(EPS)을 고려할 때 주가수익비율(PER)은 각각 130배, 36배 수준의 고평가 상태라는 분석이다.
다만 지분 환원 이후에도 안철수 원장 중심의 지배구조가 바뀌지는 않을 전망이다. 안 원장은 현재 안랩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현재 안랩 지분은 안철수 원장이 37.1%, 자기주식분 13.9%, 개인 투자자로 알려진 원종호씨가 10.8% 순으로 보유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지분 환원을 선언했지만 이사회 의장직은 계속 수행하시는 것으로 안다”며 “지분 절반을 내놓는다고 해도 총 18.55%(186만주)의 지분이 남아 있기 때문에 최대주주 입지는 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언론과 정치권이 이번 지분 환원을 두고 정치적 결정이라고 하지만 직원들은 덤덤한 분위기”라며 “백신 무료 배포와 무의촌 봉사처럼 이번 결정도 과거부터 이어온 안철수 원장의 사회공헌 활동 중 하나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