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라임경제] 교육과학기술부가 중학교 새 역사교과서 집필기준에서 5.18민주화운동 항목을 삭제키로 한 것은 ‘5.18민주화운동을 비롯한 민주역사와 정신을 삭제 축소하려는 ’천박한 역사인식‘이라는 성토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새 역사교과서 집필기준에 5.18민주화운동 삭제 철회를 위한 범시민사회단체 연석회의를 13일 개최했다.
이날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연석회의에는 강운태 광주광역시장, 김영진의원, 장휘국 광주교육감 5월단체 및 시민사회 제 단체 ,5.18 아카이브 설립 추진위원 등 유관기관과 범시민사회단체가 자리를 함께했다.
연석회의는 이날 정부에 요구할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수정안을 만들고 성명서를 첨부해 청와대, 국무총리실, 교육과학기술부 등을 방문해 전달할 계획이다.
수정요구안에 따르면 집필기준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되, 5.18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 등재 내용과 동남아 민주화 운동 등 세계사에 미친 영향 등을 기술하도록 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록된 5.18 민주화운동은 ‘유신체제가 무너진 뒤 5.18 민주화운동을 비롯하여 민주주의 체제를 수립하려는 국민의 노력이 있었으나 전두환 등 신군부가 정권을 장학했다로 돼 있다.
또, ‘4.19 혁명, 5.18 민주화운동을 통하여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발전해 나갔음을 서술할 것을 적시했다.
이들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새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즉각 폐기 △5.18민주화운동이 국내외 민주화운동에 미친 영향과 5.18기록물의 세계유산 등재사실 구체적 수록 △5.18 민주화운동 정신이 3.1운동, 4.19운동과 더불어 헙법 전문에 반영 △다음세대에 대한 진실한 역사교육 실시 등을 주장했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국무총리에게 사안을 중대성을 설명했다. 이번 사안에 대해 정부차원에서 논의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내일이면 논의 결과가 나올 것이다”이라고 밝혔다.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은 “전국교육감협의회에 5.18기록물 삭제에 대한 철회에 동참해 줄 것을 통보해 놓은 상태다”면서 “현재 5개 지역의 교육감들이 이번 5.18기록물 삭제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