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박광선칼럼] 디지털 전환은 시대의 소명

박광선 기자 기자  2011.11.11 08:24:42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시청자는 물론이고 방송사의 디지털 전환율이 낮아 자칫하면 디지털 대란이 일어날 수도 있다"

"디지털 전환은 세계적인 흐름이다. 세계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화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지상파방송의 디지털 전환을 놓고 벌이는 날선 공방전을 보면 한숨이 절로 나온다. 지상파 아나로그 TV방송 종료가 목전으로 다가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자칫하면 2013년 1월1일로 예정된 전면 디지털 TV방송 일정에 차질을 빚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크다.

물론 방송의 디지털화가 그리 쉬운 문제는 아니다.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해 온 프로젝트로 일부에서는 '아나로그 방송의 디지털 전환은 흑백TV 방송 시작(1961년) 이래 최대 사건'이라고 손꼽을 정도니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시시비비가 없다면 그것이 이상한 일이다. 그래서도 안 된다.

문제는 시간이다. 10여년간 추진해 온 프로젝트의 성패가 남은 1년에 달렸기 때문이다.

우리가 방송의 디지털 전환을 둘러싸고 벌이는 논란을 우려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금은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서라도 방송의 디지털화라는 시대적 소명을 완성해야 할 때라는 판단에서다.

잘 알다시피 OECD 32개국 중 26개국이 디지털 전환을 완료했다. 이처럼 세계 각국이 앞다퉈 아나로그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것은 그 장점이 엄청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나로그가 디지털로 전환되면 방송 산업은 활성화되고, 시청자 편익은 크게 증대된다. TV 화질은 5배 가량 개선된다고 한다. 또 주파수 대역에 여유가 생겨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양방향 서비스, 다중자막, 데이터방송은 물론 다채널무료방송(MMS)이 가능해 지는 등 방송산업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우리 정부가 10여년동안 아나로그 방송을 디지털로 전환하기 위해 많은 땀을 흘린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시대적 흐름에 뒤지지 않기 위해서다. 이의 일환으로 정부는 지난해 울진, 단양, 강진에 이어 지난 6월 제주도를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한 바 있다.

하지만 아직 갈길이 멀다.

가장 큰 걸림돌은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컨버터(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전환하는 장치)와 안테나 설치다. 설치비용이 무료제공된 시범사업과 달리 2013년부터 의무적으로 바꿔야 하는 시민들은 최하 25만 원 정도의 돈을 부담해야 한다.

대표적 혜택의 하나라는 지상파방송의 난시청 해소도 문제다. 유료방송 가입자들은 전환 대상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비싼 유료방송을 시청하지 않는 사람의 대다수가 저소득층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할 문제다.

디지털전환의 사각지대라 할 수 있는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도 미미한 수준이다. 디지털컨버터 1대를 무상지원받거나 디지털TV 구매비용(10만원)을 보조받는 가구가 1만3천여가구로 전체가구(168만 가구)의 10% 에도 못미친다. 취약계층은 경제적 사정으로 디지털 전환을 위한 비용을 지불하기 어려운 가구다. 따라서 정부가 디지털전환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지원해야하는 곳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디지털방송을 공급하는 방송사의 디지털준비도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6월말 현재 지상파방송사 방송보조국 디지털전환률은 40%에 불과하다고 한다. 최근 이용경 의원은 "공영방송인 KBS의 디지털전환율은 38%, MBC는 64%, SBS도 45%에 지나지 않는 등 방송3사 모두 올해 목표치인 68%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질타한 바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그동안 수도권 지역에서만 실시하던 취약계층 대상 디지털 전환 지원사업이 11월부터 전국으로 확대된다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아나로그 방송의 디지털 전환은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이다. 방송에 새로운 활력소를 불어 넣을 뿐 아니라 새로운 산업으로의 진화를 불러 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그냥 가자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전환정책이 제대로 굴러가는지 꼼꼼히 따지지 않으면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비판을 위한 비판보다는 관심과 열정으로 시대적 소명을 마무리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