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아파트 입주물량은 늘고 있지만 전세시장 불안감은 여전히 높아지고 있다. 입주물량이 늘면 공급물량이 부족한 전세시장에 도움이 되는 게 맞지만, 이들 물량에는 주인이 없는 미분양 물량도 섞여 있기 때문이다.
분양을 완료한 입주물량 역시 전세난에 도움이 될 지는 미지수다. 최근 입주시점을 맞는 아파트의 경우, 2007년 이후 분양가상한제를 피해 밀어내기식으로 쏟아낸 물량이다.
부동산 호기 당시 중대형 아파트는 인기가 높았지만, 최근에는 매매는 물론 전세시장에도 인기가 시들었다. 입주물량이 늘어나도 소형 아파트를 선호하는 전세수요가 선택할 수 있는 폭은 한정돼 있다는 얘기다. 최근 들어 소형면적 아파트값이 중대형 아파트를 추월하는 이유다.
![]() |
||
입주물량이 전세난에 큰 도움을 주질 못하고 있다. 분양 당시 주인을 찾지 못한 미분양과 선호도가 높지 않은 중대형 아파트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사진은 수도권 외곽에 입주를 맞이한 아파트 단지. |
그러나 수도권지역 미분양 아파트는 여전히 적체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서 분석한 미분양 아파트 현황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 6월 소폭 증가한 이후 다시 감소세를 보이면서 6만8039가구로 나타났다.
3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수도권의 경우 전월 대비 소폭(351가구)감소한 2만7283가구로 집계됐다. 특히 9월 말 현재 전국에서 미분양이 가장 많이 적체돼 있는 곳은 경기도 지역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미분양 물량 중 59.9%가 수요기반이 취약한 비수도권 지역, 62.1%가 85㎡ 초과의 중대형 주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체 미분양의 50.7%에 이른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 나인성 연구원은 “입주물량이 늘면 전세물량도 늘어나는 게 맞지만, 이는 단순하게 착공한 아파트가 준공되면서 집계된 물량”이라며 “특히 이들 물량에는 중대형 미분양 등이 섞여 있는데 비싼 관리비와 유지비 등을 내고 살 전세수요가 없기 때문에 단순히 입주물량 증가로 전세난이 해소된다고 보긴 힘들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