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나라당이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 이후 물밑으로 준비해온 쇄신안의 발표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이후로 연기했다.
이는 쇄신안을 놓고 당내 계파 간 갈등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한미 FTA 비준안 처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당 지도부의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주말에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당내 쇄신논의는 이제 출발단계”라고 선을 그으면서 “앞으로 쇄신연찬회를 통해서, 끝장토론을 통해서 모든 의견을 수렴한 후에 최고위에서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미 FTA 문제는 그러나 국익이 걸린 중차대한 문제로 더 이상 미루기가 어렵다”며 “이젠 더 이상 FTA를 늦추기가 어렵다. 마지막으로 점검을 해보고, FTA는 처리되어야 할 것”이라며 ‘한미 FTA 문제’를 당내 쇄신 논의보다 우선 순위로 뒀다.
김기현 대변인은 이와 관련 최고위원회의 비공개 부분 브리핑을 통해 당 쇄신책과 관련, “한-미 FTA 문제가 끝난 후, 원내 및 원외 합동연찬회를 열어서 치열한 토론을 거친 후 최고위원회의에서 결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승민 최고위원은 “민주당은 전당대회를 통해서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하고, 그 새로운 지도부는 마치 FTA통과에 대해서 책임이 없는 듯이 가는 그런 전략으로 나오고 있다”면서 “그 점까지 충분히 감안해서 FTA 처리전략에 대해서 논의를 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주말 일각에서 한나라당의 쇄신방안이라고 언론에 거론된 그런 몇 가지 내용들을 접하고 저는 굉장히 놀랐다. 그 정도 쇄신안으로 가지고 과연 국민께서 한나라당이 변한다고 이야기하고 인정을 해줄 수 있을 것인지 굉장히 놀랐다”면서 “일부 언론에 보도된 그런 쇄신안은 어림도 없다고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천문제, 정책문제, 당청 관계의 문제, 또 외부인재를 영입하는 문제, 이러한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 우리가 형식이 아니라, 본질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그런 쇄신방안이 나오기를 기대하고, 저도 그런 차원에서 고민하겠다”고 강조했다.
원희룡 최고위원은 “당내에서 아무런 사전설명이나 논의, 또는 저를 비롯한 최고위원들이 당의 쇄신에 대한 고민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어떠한 진지한 논의의 과정도 없이 쇄신 아이디어라고 언론에 발표되는 것을 보면서, 우리 당의 이러한 논의과정, 논의구조, 그리고 이러한 일방적인 당 운영, 이것을 바꾸는 것부터 시작해야 되겠다는 것을 절감했다”고 꼬집었다.
그는 특히 “우리 당은 이 정부 들어서만 여러 차례 쇄신기구를 만들고, 쇄신논의를 해왔다”면서 “저도 쇄신위원장을 6.2지방선거 직후에 맡아서 33개의 당·정·청 쇄신방안을 제시한 바가 있지만 사실 논의의 내용이 획기적으로 달라질 것은 없다”고 평가했다.
이에 “그동안 우리가 잘못해왔던 것들에 대한 처절한 자기반성, 희생이 필요할 때의 자기희생, 그리고 자기변화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그것에 대한 자기 자신부터의 기득권을 내려놓고, 앞으로 공천, 정책, 당 운영 모든 과정에서 당 지도부, 그리고 당 대표님부터 모든 기득권과 부당한 관여를 하지 않겠다, 라는 이것에 대한 약속과 실천 없이는 저는 또 다시 되풀이되는 한나라당표 도돌이표 쇄신 아이디어가 이벤트에 불과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남경필 최고위원은 당 쇄신 문제와 관련, “당 소속 의원들이 대통령께 진심어린 반성을 촉구하는 그러한 서한을 보냈다.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저는 우리 지도부부터 같이 반성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우리 지도부 모두의 반성이 우리 쇄신의 시작”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그리고 왜 우리가 선거에서 졌는지, 그리고 그간 이명박 정부, 한나라당 정권의 지난 3년 반 동안 어떤 잘못들을 저질렀는지를 제대로 진단하고, 그 진단의 결과가 나왔을 때 우리는 그것을 하나하나 고쳐나가야 할 것”이라면서 “저는 우리 지도부의 처절한 자기반성과 과거의 잘못에 대한 제대로 된 분석과 해법 이런 것들이 따라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