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패한 한나라당이 떠난 민심을 잡기 위한 전방위 쇄신에 나섰다.
그 중에서도 눈길을 끄는 것은 ‘부자 정당’ 이미지를 떨쳐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버핏세’ 추진 검토다. 이와 관련 당내 일부 의원들 역시 “이명박 정부가 부자와 대기업 편이라고 느끼기 때문에 국민이 분노한 것”이라면서 ‘버핏세’ 추진을 반기는 눈치다.
그렇다면 한나라당이 추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관심이 쏠리고 있는 ‘버핏세’는 무엇일까. 버핏세는 부유층으로부터 세금을 더 걷자는 일종의 부자 증세 방안이다.
미국의 억만장자인 워런 버핏 버크셔 헤서웨이 회장이 “돈을 굴려 돈을 버는 사람들이 노동하고 돈을 버는 사람들보다 훨씬 낮은 세율을 누린다”면서 부유층에 대한 증세 필요성을 거론하면서 공론화 됐다.
이어 버핏은 지난 8월 뉴욕타임즈 기고에서 “슈퍼부자를 감싸지 말라”면서 “나 같은 슈퍼부자는 비정상적인 감세 혜택을 받고 있다”고 밝혀 전 세계에 공평 과세 논쟁을 촉발시켰다.
그런가 하면 차기 대선을 앞두고 재정적자라는 복병을 만난 버락 오바마 대통령 역시 지난 9월 연간 100만달러 이상을 벌어들이는 계층을 대상으로 자본소득세율을 근로소득세율 수준으로 높이는 사실상의 버핏세 도입을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 내에서도 부유층을 중심으로 조세저항이 만만치 않은 상태라 국내 버핏세 도입이 가능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 홍준표 대표는 10여일 간의 소통과 장고 끝에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버핏세 추진 검토를 포함한 쇄신안의 일단을 공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