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수도권 아파트 평균 낙찰금액이 DTI규제 부활 직전보다 10% 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평균 낙찰금액은 올 들어 가장 낮은 3억 240만원으로 DTI규제가 부활되기 직전이었던 지난 3월 평균 낙찰금액 3억 3678만원보다 3438만원(11.37%) 가량 낮았다.
특히 감정가액이 높을수록 평균낙찰 금액 하락폭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감정가 3억원 초가 아파트의 경우 대출규제 직전이었던 지난 3월에는 평균낙찰금액이 4억 9446만원에서 지난달에는 4억 3095만원으로 6351만원(14.74%) 하락했다.
이에 반해 감정가 3억원 이하 저가아파트는 같은 기간 동안 1억 7641만원에서 1억 6433만원으로 1208만원(7.35%) 하락하는데 그쳤다. 6억원 초과 고가아파트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8억 830만원에서 6억 8951만원으로 1억 1879만원(17.23%)이 낮아졌다.
저가아파트의 경우 부동산시장이 침체됐음에도 불구하고 전세난의 영향으로 하락폭이 제한적인데 반해 고가아파트의 경우 자금마련 부담이 큰데다 유럽발 금융시장 불안까지 겹치면서 낙찰금액이 계속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지역 평균 낙찰금액이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4억6159억원을 기록, 대출규제 직전이었던 3월(5억3926만원) 보다 7767만원(16.83%) 낮아진 것. 이어 인천은 2억 1467만원에서 1억8886만원으로 2581만원(13.67%) 저렴해졌다.
반면 경기도의 경우 지난 3월 평균낙찰금액이 2억 6442만원이었지만 지난달에는 2억5991만원으로 451만원(1.74%) 감소한 데 그쳤다.
이를 두고 경매 전문가들은 “수도권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되자 경매를 통한 내집마련 수요가 몰리면서 평균 낙찰금액 하락폭이 미미했던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부동산태인 이정민 팀장은 “저가아파트의 경우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 전세난이 다시 불거질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낙찰금액이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면서도 “하지만 고가아파트의 경우 부동산시장 침체의 골이 깊은 상황에 금융시장까지 불안하기 때문에 시장이 회복될 수 있다는 강한 시그널이 나오지 않는 이상 반등은 힘들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