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금융위·금감원 엇갈린 방침에 한국형 헤지펀드도 '之'

공매도 금지 연장 가능성↑…금감원은 헤지펀드 인가 방침 지속

정금철 기자 기자  2011.11.02 12:30:32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그리스를 위시한 유로존 리스크로 세계 금융시장이 변동성에 휘둘리면서 금융위의 공매도 금지 조치 연장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자 헤지펀드 활성화를 둘러싼 업계와 금융당국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당초 금융위원회는 지난 8월 10일부터 11월 9일까지 3개월간 주가 하락을 예상한 투자자들이 주식을 빌려 매매하는 공매도를 늘릴 경우 주가 변동성이 커질 것을 우려해 공매도를 금지했다.

이에 따라 현재 공매도는 유동성 공급자(LP)의 차입 공매도와 상장지수펀드(ETF) 등의 헤지거래에 한해서만 이뤄지고 있으며 이 결과 지난 8월 9일 3790억원에 달했던 공매도 거래액은 지난달 31일 현재 65억원까지 감소했다.

그러나 공매도 금지 조치 해제일인 9일까지 일주일 남긴 시점에서 그리스발 악재는 여전히 글로벌 증시에 악재가 되며 전일에도 미국과 유럽증시를 급락세로 몰아넣었다.
 
이런 이유로 금융위는 이번 주 내로 공매도 금지 해제와 관련한 사항을 결정짓는다는 방침이나 금지를 연장하는 쪽에 무게추가 기우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매도를 금지한 지난 3개월간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공매도를 금지한 3개월간 외국인 매도세가 확실하게 둔화됐고 이 영향으로 코스피지수가 반등했다고 본다"며 "일단은 해외 및 국내 증시상황 및 외국 공매도 금지 현황 등을 좀 더 살펴본 후 해제 여부와 관련한 가닥을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공매도 금지를 연장할 경우 내달 출범 예정인 한국형 헤지펀드 활성화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번지면서 금융위도 명확한 입장을 밝히기 힘들다는 뜻을 내비치고 있다. 헤지펀드는 차입과 공매도로 수익을 올리면서 위험을 관리하기 때문에 당국의 공매도 계속 금지 방침은 헤지펀드 도입을 초기부터 가로막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그리스 국민투표라는 돌발 변수도 문제지만 헤지펀드를 둘러싼 업계의 반발도 생각보다 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며 난처한 입장을 밝혔다.

공매도 금지 연장에 가장 크게 반발하는 곳은 자산운용사다. 공매도가 막혀있으면 저평가 종목을 사들이고 고평가 종목을 공매도해 차익을 얻는 헤지펀드의 대표상품인 '롱숏펀드' 운용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을 아는지 모르는지 금융감독원은 금융위의 공매도 금지 연장과는 별개로 올해 안에 한국형 헤지펀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당초 계획이 정해진 만큼 일단은 기존 방침대로 헤지펀드 인가 조건을 갖출 경우 규정에 따라 인가를 내고 헤지펀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그리스 악재에 따라 금융위가 공매도 금지를 연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금감원은 헤지펀드 인가를 모색하고 있고 금융위는 공매도 금지를 연장하려고 하니 어느 쪽에 장단을 맞출지 모르겠다"고 성토했다.

이어 "어느 쪽이건 당국의 입장 정리가 조속히 마무리돼야 업계 혼란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탈리아와 스페인은 유로존 리스크가 계속되자 8월 12일부터 9월 30일까지로 정한 1차 공매도 금지 기한을 연장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