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동산 시장의 수도권과 지방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부동산 경기침체가 장기화회면서 수도권 새 아파트 의 분양가가 지난해보다 싸졌음에도 불구하고 청약 경쟁률은 오히러 떨어졌다.
반면 지방시장은 청약성적과 분양가 모두 지난해보다 강세를 보여 눈길을 끈다.
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27일까지 올해 수도권에서 공급된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156만원으로 지난해보다 67만원 낮아졌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은 1794만원에서 1520만원으로 낮아졌고, 경기도는 1149만원에서 1043만원으로 각각 274만원, 106만원씩 저렴해졌다. 단지 인천은 지난해 3.3㎡당 1132만원에서 1179만원으로 소폭 올랐다.
주택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건설사들은 대형보다 중소형 아파트를 공급하기 시작했고, 나아가 미분양을 우려해 자발적으로 분양가를 내린 것으로 부동산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아이러니 한 것은 이 같이 분양가가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청약 경쟁률은 지난해보다 떨어졌다는 점이다. 올해 수도권에서 분양한 새 아파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1.2대 1로 지난해 2.4대 1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분양가 인하폭이 컸던 서울의 경우 2.5대 1에서 2.9대 1로 약간 올랐을 뿐, 인천과 경기도는 급락폭을 보였다.
그런가 하면 지방은 수도권의 분위기와는 달리 청약성적과 분양가 모두 지난해보다 강세를 보였다. 지난해 1.7대 1에 불과했던 지방 신규 아파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올해 4.8대 1로 치솟았다.
특히 부산과 광주는 올해 각각 10.6대 1과 10.0대 1의 높은 청약률을 기록했다. 또 지방의 경우 3.3㎡당 평균 분양가도 697만원에서 807만원으로 110만원이나 올랐다.
이와 관련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지난 하반기부터 이미 나왔던 이야기다. 작년 하반기부터 올 상반기까지 지방이 수도권에 비해 호조세를 보인 것은 사실”이라면서 “2006년부터 지방 주택 공급량이 줄어들었다가 물량이 나오면서 청약 경쟁률이 높아지고 분양가가 올랐다. 하지만 이는 올 한해를 정리하는 차원의 분석일 뿐, 앞으로는 지방 시장 역시 공급과잉 우려가 커졌다는 점에서 수요자들의 주의와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