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LG전자(대표 구본준)가 ‘소프트웨어 명장 제도’를 통해 전문성 강화에 본격 나섰다.
LG전자는 지난주 서초 R&D캠퍼스에서 구본준 부회장, 최고기술책임자(CTO)안승권 사장 등 주요 임원진이 참석한 가운데 ‘소프트웨어 아키텍트(Software Architect)’ 인증식을 가졌다.
이날 인증식에서 모두 14명의 연구개발 인력이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인증패를 받았다. 소프트웨어 아키텍트는 소프트웨어의 전체적인 구조를 이해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설계(소프트웨어 아키텍쳐, S/W Architecture)하는 소프트웨어 분야의 최고 인력을 지칭한다.
구 부회장은 이들에게 “소프트웨어 경쟁력은 곧 미래 성장동력이다”며 “여러분이 최고 전문가라는 자부심을 갖고 지속적인 교류와 정보 공유를 통해 역량 향상에 매진해 달라”고 독려했다.
LG전자에 다르면 최근 하나의 제품에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고객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구 부회장의 전폭적인 지지 속에 연말까지 약 70여명의 소프트웨어 아키텍트가 배출될 계획이다.
![]() |
||
LG전자는 최근 서초R&D캠퍼스에서 구본준 부회장(중앙), 최고기술책임자 안승권 사장(제일 왼쪽) 등 주요 임원진이 참석한 가운데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인증식을 가졌다. |
한편,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양성과정 대상자는 매년 초 연구소장 및 사업부장의 추천을 받은 연구원을 심사해 선발된다.
선발자는 온라인 교육, 집합 교육,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Carnegie Mellon University) 교육 과정 등 약 4개월의 교육 과정을 이수 후, 약 4개월에 걸쳐 현업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이 후, 인증위원의 심의를 거쳐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에 선정된다.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에 선정되면 사업 본부 내 별도의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전담 조직에 소속되어 다양한 직무를 경험하게 된다. 또, 연간 연구개발 활동비도 지원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