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두산인프라코어는 26일 중국 장쑤성 쑤저우에 세운 제2생산기지의 준공식을 갖고 소형 굴삭기 양산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쑤저우 공장은 급성장하는 소형 굴삭기 수요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중대형 위주의 산둥성 옌타이 공장과 투톱 체제로 중국 굴삭기 시장을 공략하게 된다.
연면적 24만㎡ 규모인 쑤저우 공장은 두산인프라코어의 중국 자회사인 DICI(25%), DICC(75%)가 2007년부터 729억원을 투자해 완공했다.
이 공장은 연간 9800대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8톤 이하 소형 굴삭기를 생산한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중국 내 자회사를 통해 2015년까지 2단계 공장 확장을 추진, 연간 1만3600대 규모로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다.
두산인프라코어가 중국 내 제2의 생산기지를 건설한 것은 △급성장하는 중국 소형 굴삭기 시장 대처 △중국 남부지역 공략 △물류비 절감과 원가 절감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등을 위해서다.
중국의 소형 굴삭기 시장은 과거 5년간 연평균 34%의 성장을 기록했고, 2010년 중국 굴삭기 시장의 약 33%를 차지했다. 중국 정부의 도시화 추진, 신농촌 개발 정책에 따라 소형 굴삭기 시장은 앞으로도 연 10% 가량의 성장이 예상된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중국 내 굴삭기 시장 누적판매 대수 1위인 옌타이 공장과 더불어 투톱 체제로 중국 시장 및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 쑤저우 공장은 소형 굴삭기, 옌타이 공장은 중대형 굴삭기 중심으로 전문화를 추구한다는 전략이다.
쑤저우 지역은 중국의 첨단 공업지역으로 육상, 해운 교통이 발달했으며, 소형 굴삭기의 최대 소비지인 중국 남부 지역과 가까워 물류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협력업체들도 쑤저우 인근 지역에 몰려 있어,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으로 가격, 품질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준공식에는 박용현 두산그룹 회장을 비롯해 김용성 두산인프라코어 총괄 사장, 토니 헬샴 두산인프라코어 건설기계BG 사장, 안총기 상하이 총영사, 쑤저우 정치협상회 왕진화 주석, 쑤저우 공업원구 관리위원회 주임 양즈핑 부시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