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건설공사 계약액이 지난 6월 현재 4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올해 5월 미분양주택이 지난 2005년 2월 이후 가장 많은 5만8000여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는 9월 시행되는 재건축 개발부담금, 종합부동산세 대상 확대(12월 납부) 등 건설경기를 위축시킬 각종 규제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어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발주기관별로 보면 토목부문의 극심한 부진으로 공공부문이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23.6% 감소한 2조3101억원에 그쳤고, 민간부문은 주거용 건축의 미미한 상승을 보였으나 토목부문의 부진으로 1.1% 감소한 8조2534억원으로 집계되었다.
한편 건협은 6월 건축허가 면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9% 증가하며 수주 감소와는 상반된 양상을 보였으나, 이는 7월12일부터 시행된 기반시설부담금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건설경기와는 무관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고 밝혔다.
2006년 상반기 건설시장은 공공부문이 주거용의 증가에도 불가하고 비주거용 건축과 토목부문이 부진해 지난해 상반기보다 21.2% 감소한 11조3436억원으로 집계되었다. 민간부문은 주거용이 전년과 같은 수준을 보였으나 토목부문의 극심한 부진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7.9% 감소해 전체 건설시장은 11.7% 감소한 44조2223억원에 그쳤다.
건협 관계자는 “하반기에 거시경제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확대되고 부동산에 대한 규제정책의 본격 시행 등 민간부문에 대한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데다 공공부문도 상반기에 21.2% 감소에 이어 하반기에도 큰 폭의 상승세는 어려워 보여 물량부족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정부의 각종 부동산 정책으로 가격하락 보다는 공급물량만 축소되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주택 및 SOC 시설 등에 대한 투자는 경기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투자되어야 하며, 건설업의 고용 및 생산 유발효과가 큰 점를 고려할 때 건설부문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있어야 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