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올 상반기 전업 카드사들의 순이익이 1조원을 돌파 했다.
그러나 이번 이익실현은 영업이익보다는 부실채권 상각과 대손 비용 감소에 따른것이고 이익의 절반이 LG카드에 편중돼 있다.
28일 금융감독원은 상반기 6개 전업 카드사들의 순이익이 1조374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순이익 3천423억원을 이미 넘어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업 카드사들은 2003년 7조7천289억원의 대규모 적자에 이어 2004년에도 1조3408억원의 적자를 냈으나 지난해 흑자로 돌아섰다.
이번 카드사들의 대규모 이익은 부실채권 상각과 리스크관리 강화로 자산건전성이 좋아져 대손 비용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6월 말 현재 전업 카드사들의 연체율은 8.02%로 지난해 말의 10.06%에 비해 2.04%포인트 하락하는 등 자산건전성이 계속 개선되고 있다.
삼성카드의 경우 연체율이 13.51%로 다른 카드사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올해 말까지 10% 미만으로 낮출 것으로 보인다고 금감원은 전망했다.
또 1분기 3536억원의 순익을 거둔 LG카드가 2분기에도 2000억원이 넘는 순익을 거둔 것으로 보여 카드사 순이익중 절반 정도는 LG카드 1개사가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밖에 카드사들의 조정자기자본비율도 6월 말 현재 평균 22.79%로 지난해 말 대비 3.80%포인트 상승하는 등 자본여력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측은 하반기 신용카드사 감독방향과 관련, "최근 포인트 사용률이 상승하고 있다"면서 "따라 서 현행 포인트충당금 적립기준이 적정한 지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현재 채권으로 잡히는 선지급 포인트에 대해서도 충당금을 쌓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내년 1월부터 총채무액의 30% 이상을 납입하고 총약정기간의 3분의 1 또는 6개월 이상 납입하는 등 상환능력개선요건을 충족한 금액에 대해서도 요주의 채권으로 분류하도록 하는 등 대환대출의 건전성 분류기준을 개선한다는 것이 금감원측의 설명이다.
이밖에 카드사들의 조정자기자본비율을 산정할 때 조정총자산에 대한 유동화자산 반영비율을 현행 20%에서 30%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ㅣ.
한편 금감원측은 주유할인카드를 둘러싼 카드사와 주유소협회와의 갈등과 관련, "카드사들의 마케팅에 대해서는 지표를 만들어 과열도를 점검하고 있는데 지금 상황으로는 과열이라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