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은행장들은 현재의 CD(양도성예금증서) 유통수익률 대신 새로운 대출기준 금리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기했다.
은행장들은 14일 오전 한국은행에서 금융협의회를 갖고 변동금리대출의 기준금리로 이용하고 있는 91일물 CD유통수익률이 실거래가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아 그 적정성에 논란이 있는데다 CD의 등록발행제 시행으로 앞으로 발행이 더욱 위축될 가능성도 있어 새로운 대출기준금리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CD유통수익률을 대체할 새로운 대출기준금리로 우선 코리보, 91일물 통안증권 유통수익률 등을 고려할 수 있으나 대출기준 금리 변경시 예상되는 제반 영향을 감안해 신중히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또 은행장들은 또 환율 및 국제유가 향방의 불확실성, 경기상승세 둔화 예상 등으로 상당수 대기업이 국내 투자를 당초 계획보다 지연시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관련 중소기업도 이에 동조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며 기업투자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장들은 하반기에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주택가격의 하향안정 전망, 신규 입주물량 감소 등으로 상반기보다 축소되는 가운데 중소기업 대출도 계절적인 자금수요 둔화, 은행의 리스크관리 강화 등으로 신장세가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은행장들은 유망중소기업 및 개인사업자를 중심으로 신규여신 고객을 적극 발굴해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금융협의회에는 강정원 국민은행장, 신상훈 신한은행장, 황영기 우리은행장, 김종열 하나은행장, 웨커 외환은행장, 강권석 기업은행장, 정용근 농협신용대표, 장병구 수협신용대표,김종배 산업은행 부총재, 김진호 수출입은행 전무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