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신용카드 보안 2대 논점, 어떻게 해결할까

POS용 보안대책 마련·IC카드용 단말기 교체 모두 '문제는 돈'

임혜현 기자 기자  2010.04.14 09:31:51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신용카드와 관련 보안 방어책 마련을 위한 논점들이 부각되고 있다.

마그네틱 카드를 IC카드로 교체하는 문제, 그리고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의 결제 단말기 교체 추진이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컴퓨터와 연결된 POS 결제기의 보안 문제 역시 규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마그네틱 카드 정보유출 심각…'IC카드 인식 단말기'교체 시급

금융감독원이 카드복제 피해를 막기 위해 보안성이 떨어지는 마그네틱 카드의 은행ATM(자동입출금기) 사용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힌 가운데, 카드 단말기 교체 문제에 대한 논의도 본격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4일 금감원에 따르면 보안성이 뛰어난 IC칩이 장착된 현금카드나 신용카드에 대해서만 은행 자동화기기(CD/ATM)에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대다수 신용카드는 뒤쪽에 검은 띠(마그네틱선)가 들어가 있는 한편, 전면에는 손톱 크기의 금색 칩(IC카드)이 심어져 있다. 이전에는 마그네틱선만 사용하는 마그네틱 카드를 사용했지만 그간
   
  <사진=현재 마그네틱카드보다 보안 성능이 높은 IC카드로 교체 추진이 진행되면서 단말기 교체 문제도 함께 부각되고 있다. 사진은 금색 칩(좌측)이 붙은 IC 신용카드>   
IC 사용 카드로 교체가 많이 이뤄졌다. 금감원이 지난 2004년 '정보기술(IT) 및 전자금융 안전성 제고 대책반'을 구성하고 'IC칩 카드 전면 도입' 계획을 발표하는 등 독려한 데 따른 효과다.

14일 금감원 발표는 아직 시중에 남은 마그네틱 카드(전체 카드수의 약3%)를 사용하는 데 불편함을 느끼게 함으로써(은행 거래시) 이들 구형 카드 소지자들을 자진 교체로 유도하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하지만 문제는 보안이 상대적으로 허술한 마그네틱 카드의 교체만이 아니다.일선 카드 가맹점에서 카드 결제에 사용되는 단말기 교체 문제는 이 카드 교체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지체되고 있는 양상이다.일선 신용카드 가맹점, 즉 신용카드로 결제를 할 수 있는 점포의 IC카드 인식 가능 단말기의 보급률은 업계 추산 18-20% 내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IC카드 발급수에 비례해 결제단말기의 보급률은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 마그네틱 카드 사용이 금지되고 IC카드로 사용으로 통폐합되는 경우 결국 단말기 교체 부담이 현안으로 떠오르게 된다, 금융당국은 이미 결제대행서비스 업체(VAN업계)가 카드 단말기 교체를 강조해 왔지만, 추진이 더딘 상황이다.

IC카드용 단말기는 대당 15만원선으로 파악되고 있다. 첫 보급 당시보다는 마그네틱 카드용 단말기와 IC카드용 단말기의 가격차가 많이 좁혀졌다고는 하지만 부담이 없을 수 없다.VAN업체로서는 100만여 카드 가맹점의 단말기를 모두 교체하는 데 부담감이 커 진척이 늦어졌는데,카드사들은 단말기 문제는 VAN업체들의 몫이라는 게 기본입장이라 부담 문제를 카드사 도움으로 해결하는 것은 일단 요원한 상황이다.

하지만 보안 관련 비용인 만큼 어떤 형태로든 분담 문제에 대한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컴퓨터 연결 단말기(POS) 보안문제 어쩌나

한편,단말기는 다시 결제만 가능한 일반단말기와 컴퓨터와 연결돼 매출 관리 등 기능이 부가되는 POS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POS 시스템은 신용카드 정보가 일정 시간 저장될 수 밖에 없고, 아울러 인터넷 선으로 신용카드 정보를 전송하는데도, 보안 프로그램은 제대로 설치돼 있지 않으면 해킹에 무방비일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최근 관련 범죄가 적발되면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전국적으로 이용 업체가 20만대 이상인 것으로 파악돼 현재처럼 방치하면 보안 관련 위기의 진앙지가 될 수도 있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POS 시스템에 대한 보안 프로그램 강화,IC카드용 단말기 교체 문제에 대한 비용 조달 등에 대한 논의와 관련 업계, 당국의 협력과 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결국 POS용 보안 프로그램 개발과 IC용 단말기 비용 배분 등에는 당국의 일정한 역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는 만큼, 시급한 보안 문제 해결을 위한 개선이 가능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