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러시아 영공 사용이 더 편리해질 전망이다.
건설교통부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한·러 항공회담(6월 21~22일)에서 러측과 시베리아 영공통과 운항횟수 증대 및 북극항로 이용 등에 합의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한·러 항공회담에서 시베리아 영공통과 운항횟수를 현 주 50회에서 주 90회로 대폭 증대시킴으로서, 러시아측 동일하게 주어진 주 90회 미사용 운항횟수를 활용할 경우 최대 180회 운항 가능하게 되어 시베리아 영공통과 운항횟수 증대 및 안정적 운항이 가능해졌다.
우리 항공사의 현재 영공통과 운항횟수는 주83회로 기존 설정된 주50회 초과분(33회)은 러측 미사용 운항권 사용중 우리 국적항공사들이 미주지역 운항시 이용하는 캄차카항로(Kamtchatka Route)보다 30분가량 단축 가능한 북극항로(Cross Polar Route)를 최대 주30회까지 신규로 이용합의함에 따라 유류비 절감(연간 60억원 규모), 요금인하, 운항시간 절감 등 항공사 경쟁력 확보 및 승객편의 증대가 가능해졌다.
양국간 항공기 운항횟수도 현재 주40회에서 주 60회로 증대시키기로 하고 화물 1노선 1사제도 폐지하여 복수취항이 가능하게 됐다.
아울러, 우리 항공사가 취항가능한 러시아내 목적지점을 현 6개지점에서 페트로 파블로프스크 캄차스키 1개 목적지점을 추가하여, 우리 국적항공사의 러시아내 노선망이 확충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