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금호·두산·프라임·유진·삼환이 참여한 대우건설 매각 우선협상대상자에 금호아시아나그룹 컨소시엄으로 결론 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각에선 대우건설 매각에 대해 투명성을 제기하고 나서고 있어 향후 큰 논란거리가 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점치고 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인수가 6조6000억 원을 써낸 금호아시아나그룹 컨소시엄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예비 우선협상자에는 6조 1000억 원을 제시한 프라임 컨소시엄이 2위를 차지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반면 6조4000억 원 가량을 제시한 두산그룹은 총수 일가의 분식회계와 횡령 등의 문제로 차순위 대상자에서도 밀려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이번 대우건설 매각과 관련해 민주노동당은 논평을 통해 “매각 주관사인 삼성증권이 입찰을 하기도 전에 ‘금호아시아나가 인수할 가능성이 높다’는 자료를 발표해 특정업체에 유리한 분위기를 몰고 갔다”며 강도 높게 비난 했다.
이어 “매각과정에서 특정업체 밀어주기와 투명성 의혹이 제기됐음에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이 ‘구렁이 담 넘어가듯이’ 매각을 서두른 결과 투명성 의혹을 규명하지 못한 채 매각에만 올인”한 결과라며 자산관리 공사와 매각 주관사의 불투명한 행정처리를 질타했다.
또 “정황적 의혹들이 거대한 게이트로까지 변질되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으며, 최소한 대우건설 매각문제만큼은 국회 차원의 사후적 평가가 불가피하다”며 향후 논란의 불씨가 있을 수 있음을 지적 했다.
한편 매각 주관사인 한국자산관리공사는 비밀유지협약에 따라 인수와 관련된 사항은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는 20일 오후 3시30분 예금보험공사 15층에서 열리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매각심사소위와 전체회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