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코오롱사태가 500일을 넘기고 있는 가운데 민주노총이 성명서를 발표했다.
민주노총은 정부와 검찰의 공권력 투입이 임박했다는 설은 노조를 더욱더 화나게 만드는 처사라며 투쟁의 강도를 더욱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일이 이렇게 된 데에는 전적으로 이웅렬 회장의 태도에 기인한다며 코오롱은 ‘2004년 앞으로 절대 인적 구조조정은 없다’고 합의했지만 그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고 그 해 12월 1000여명의 노동자가 구조조정으로 내쫓기기에 이르렀다며 합의사항 불이행이 코오롱 사태의 장기화를 야기시켰다”고 꼬집었다.
민주노총측은 희망 퇴직 제도에 대해서도 일갈했다.
민주노총은 희망 퇴직제에 대해 당시 상황을 설명하며 ‘정리해고 되면 희망퇴직금도 없다. 비정규직 일자리도 안 준다’는 협박이 난무했다고 밝히며 결국 434명의 노동자가 강제퇴직 당해야 했다고 말했다.
◆ 노조도 많이 양보했다
코오롱 노조측은 2005년 2월 1인당 700만원에 달하는 임금삭감에 합의했고 이에 ‘정리해고는 않겠다’고 교섭자리에서 사측은 약속했다. 하지만 17일 뒤에 또다시 78명의 노동자가 정리해고 됐다.
◆ 코오롱, 노조 위원장 선거 배후조종 사실로 드러나
민주노총은 성명을 통해 (주)코오롱 측이 노조선관위원을 매수했고 노조 활동에 대해 배후조종을 했다고 주장했다.
민노총에 따르면 2005년 7월 정리해고된 조합원이 노조위원장에 당선됐을 때, 회사는 노조선관위원을 매수했고 당선무효를 선언하게 해 재선거를 추진하는 대가로 선관위원에게 전세금, 휴가비와 650만원짜리 술 자리를 마련했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사실은 특별조사결과 사실로 확인되었으며 재선거를 위해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3등급으로 분류한 사실도 연이어 드러났다. 일일이 고정정보원을 붙여 감시하고 동태를 파악했다는 것.
민주노총은 선진노사관계 운운 이전에 재벌기업주의 불법행위에 대한 처벌이 없다면 파국은 피하기 어려운 일이 될 것이라 내다봤다.